물속 시야 확보안돼 동체 일부분만 발견<Br>기름띠 확산에 포항·경주지역 취수 중단
산불 진화작업을 마친 산림청 헬기가 임하댐에서 추락해 2명이 실종되고 1명이 부상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실종자 수색작업에 투입된 영주119구조대원 박근배(42)소방장이 수색작업중 숨졌다. 박 소방장의 시신은 인근 안동병원으로 옮겨졌다.
9일 오전 9시38분께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 속칭 `사이`부근 임하댐에서 산림청 산림항공본부 안동산림항공관리소 소속 S-64E 헬기 1대가 추락했다. 이 사고로 헬기에 탑승한 박동희(58) 기장과 진용기(48) 부기장이 실종됐고, 황영용(42) 정비검사관은 뭍까지 수영으로 탈출에 성공해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황씨는 경찰에서 “임하댐 수면 5~10m 상공에서 헬기 물탱크 청소를 하던 중 갑자기 추락했다” 며 “추락 당시 기장과 부기장이 기체에서 모두 빠져나온 것을 목격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고 지역에는 소방 헬기1대와 119수난 구조대 등 소방인력 40여 명이 투입돼 실종자 수색작업을 진행했지만 수심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난항을 겪고 있다.
발견지점도 당초 소방당국이 최초로 예측한 추락지점(뭍에서 50m·수심20m)보다 250여m 떨어진 수심 38m 지점인 것으로 확인됐다. 수난구조대 등 시민단체에서 음파탐지기 등 고가의 장비로 활용해 사고발생 5시간 만인 오후 2시50분께 날개 등 동체 일부분이 발견한 것.
특히 추락한 헬기에서 기름이 유출되면서 기름띠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수자원공사 측은 추락지점에서 반경 300m에 이르는 기름띠가 형성되자 오일펜스를 긴급 설치했다. 또 포항과 경주지역으로 보내질 영천도수로 취수를 비롯해 댐 발전까지 모두 중단한 상태다. 수자원공사 포항권관리단은 이번 취수중단에 따라 취수원을 영천댐으로 긴급 전환하기로 했다.
사고 헬기는 앞서 8일 밤 11시께 영덕 국유림에서 일어난 산불을 진압한 후 안동으로 돌아가던 중이었다고 산림항공관리소측은 밝혔다.
산림청 관계자는 “현재 추락한 헬기 기체는 보이지 않고 수면 위에 기름띠 등 부유물만 확인되고 있다” 면서 “기체 결함인지, 조종사 과실인지 등 정확한 사고 원인은 기체를 인양한 후에나 밝혀질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에앞서 8일 오후 11시께 영덕군 남정면 사암리 인근 야산에서 산불이 나 일대 1ha를 태웠다. 불이 나자 영덕군과 영덕소방서는 소방차 4대와 산불진화대원, 공무원 466명, 산림청헬기 5대 등을 투입해 산불을 진화했다. 사고 헬기는 이 산불 진화에 투입된 헬기 중 1대이다.
안동/권광순기자
gskwon@kbmaeil.com
/이동구기자 dgle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