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좌색` 탈색 건강한 나라로 재도약을

등록일 2012-12-28 00:52 게재일 2012-12-28 23면
스크랩버튼
▲ 윤종현 경주본부장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은 좌파와 종북세력(從北勢力)들의 세상이었다. 그것도 정권 묵인하에서. 대한민국은 엄연히 국가보안법이 존재하는 법치국가다. 그런데 좌파와 종북세력은 우리 헌법을 무시하고 10년 동안 국가 정체성을 파괴하는 `변종 이념`을 전파했다. 그 폐해가 현재까지 사회 곳곳에 뿌리 박고있다.

좌파와 진보세력은 피교육자들에게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세뇌시키는 전략을 구사한다. 전교조는 초등생 교실에 선군(先軍)정치 포스터를 부착하고, 6·25 전쟁을 남침(南侵)이 아닌 `북침`으로 설명하는 가 하면, 북한주체사관인 `통일자료집`을 교육자료로 활용해 편향된 북한관으로 학생을 교육하는 등 교육 백년대계를 송두리째 흔들어 놓았다. 그 결과 청소년의 가치관과 주적(主敵) 개념마저 바꾸어 놓았다.

지난해 한국청소년미래리더연합과 틴고라미디어가 전국 400여개 학교에 소속된 2천500명의 중·고교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 국가관·안보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청소년들은 우리나라 `주적`으로 일본(44.5%), 북한(22.1%), 미국(19.9%) 순으로 응답했다. 좌파정권이 `국기(國基)`마저 흔드는 교육을 조장했기 때문이다. 6·25 이후부터 문민정부에 이르기까지 강조해온 `반공`을 좌파세력들이 철저하게 유린했다.

2차 대전 후 식민지에서 해방된 140여개 국 중 경제적으로 가장 성공한 나라는 대한민국이다. 더욱이 6·25 때 미국 트루먼 대통령은 미군 참전과 관련해, 시민사회와 국민들로부터 거센 반발을 받았다. “왜 남의 전쟁에 우리 젊은이들이 희생을 하는 것이냐”는 것이었다. 그리고 미군 철군을 요구했다. 이 전쟁에서 미군은 사망 3만6천940명, 실종자 8천176명의 희생을 냈고, 우리나라와 참전국을 포함해 사망자가 총 18만여 명이었다. 그래서 우리는 참전 16개국을 우방(友邦)으로 부르고 있다. 이들의 숭고한 희생이 있었기에 오늘의 우리나라가 있으며, 현재 세계 10대 경제강국으로 성장한 것이다.

대선 투표 결과에서 20·30대는 좌파 후보를 선택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는 대선 전 “북한을 `국방백서`에 주적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발언을 여과없이 표현했다. 문 후보는 “참여정부에서 `국방백서`에 주적이라는 표현을 `현존하는 위협`으로 변경했지만, 당시 단 한 명의 장병도 희생되지 않고 국토를 방위했다”며 국방백서의 주적 표시를 비판했다. 심지어 이번 대선 후보인 이정희는 방송토론에서 `남침이냐 북침이냐`에 대해서도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는 등 대한민국 `국민`이기를 거부했다. 급기야 이런 후보가 속한 정당에 혈세 27억원을 준 데 대해 국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국민들은 `정부가 좌익을 양성하는 자금마저 지원하고 있다`면서 잘못된 공직선거법 개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렇게 좌파세력 `발호`를 뒷받침해 준 장본인이 DJ와 노 전 대통령인 것이다.

지난 1994년 제8차 남북한 실무접촉에서 북측 대표 박영수는 “서울을 불바다로 만들겠다”는 협박성 발언을 했다. 이에 대해 김영삼 정부는 다음 해인 1995년 국방백서에 처음으로 북을 `주적`으로 표시하는 강력한 조치를 했다. 그런데 참여정부 시절인 2004년 국방백서에서 `북한=주적`표현이 삭제됐다.

국민과 보수진영들은 이명박 정부가 좌파 세력을 제거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현 정부는 `좌파촛불`에 밀려 좌파 제거에 대한 시동조차 걸지 못했다.

박근혜 정부는 국가 정체성까지 혼란케 한 이 책임을 분명히 따져야 한다. 특히 젊은 층의 잘못된 역사관과 국가관을 교정해야 하며, 그리고 사회 전반적으로 퍼진 `좌색`을 탈색시켜 건강한 나라로 재도약시켜야 할 것이다.

데스크칼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