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18대 대선 또 나눠먹기 인가?

등록일 2012-09-21 21:23 게재일 2012-09-21 23면
스크랩버튼
▲ 이창형 서울지사장

안철수 서울대 교수가 대권도전을 선언함으로써 12월 대선판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안 교수의 출마선언은 지난 16일 지역별 순회경선끝에 민주통합당 대선후보로 선출된 문재인 후보와의 야권후보 단일화의 시작을 알린 셈이다.

양자간 단일화방식이 어떻게 진행될지가 정치권의 초미의 관심사다.

안 교수는 19일 출마선언에서 정치권의 진정한 변화와 혁신, 국민의 동의를 단일화 논의의 두 조건으로 제시하면서 “이 시점에서 두 조건이 갖춰지지 못했기 때문에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이 말은 역설적으로 기성정당이 두 가지 요건을 충족시키는 대대적 쇄신에 나선다면 단일화 논의에 응할 수 있다는 뜻을 함축하고 있다.

하지만, 양자간의 단일화 방식이 이른바 권력 `나눠먹기식 야합`이란 구태를 되풀이한다면 과거`DJP연합` 등과 다를 바 없다.

DJP연합이란 무엇인가.

1997년 대선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은 총리직의 자민련 할애 등 공동정부 구성이라는 `권력분점 카드`와 김종필(JP)자민련 총재의 염원이었던 `내각제 개헌`을 제시했다. 결국 대선을 한 달여 앞둔 11월3일`DJP연합`이 출범했다. 두사람간의 담판의 결과였다. 여기에 당시 무소속이었던 박태준 의원이 자민련에 합류하는 방식으로 `DJT 연대`로 발전했고, 결국 김 전 대통령은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연대는 2002년 대선에서도 이뤄졌다.

당시 대선에는 이른바 `이회창 대세론`이 불고 있었다. 이에 맞서 노무현·정몽준 후보는 100% 여론조사방식으로 단일화 과정을 거쳤고 대선후보 등록 직전인 11월25일 노 전 대통령으로 단일화가 이뤄졌다.

이처럼 역대 대선에서 연대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였다. 17대 대선을 제외하면 역대 대선에서는 각종 합종연횡이 줄을 이었고 그 효과도 톡톡히 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같은 합종연횡은 정당과 후보의 정치철학과 가치보다는 정권창출을 위한 수단이었다. 그래서 지금 역사는 당시를 `권력나눠먹기식 야합`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DJP연합정권은 내각제개헌 약속이 지켜지지 못하면서 파기됐다. 노무현·정몽준 연합 또한 `공동정부 구성`을 둘러싼 명시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데 따른 갈등이 폭발, 정 후보가 대선을 하루 앞둔 12월18일 공조파기를 선언했다.

그렇다면 지금 불을 지피고 있는`문재인·안철수 연대론`은 과거와 달라진 게 있는가?

문 후보는 지난 5월 공동정부 구성을 전제로 안 교수와 후보 단일화를 하자고 공개 제안했다. 문 후보가 대통령이 되고, 안 교수가 책임총리를 맡는 방안이다.

문 후보의 이같은 제안은 지난해 10월 서울시장 선거 당시 안 원장이 단 17분 동안 박원순 후보를 만나 시장 후보 자리를 박 후보에게 양보한`박·안`방식을 염두에 둔 셈이다. 결국 두 사람간의 단일화는 담판이냐, 여론조사형식 등이냐를 놓고 정치권의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두 사람이 어떤 식으로든 단일화에 성공한다고 가정하더라도 대선을 앞두고 합종연횡을 되풀이해 온 과거 정치행태와 다를 바 없다는 점에서 국민들은 냉철한 판단을 해야 한다. 국민이 부여한 권력을 놓고 나눠먹기식 야합으로 정권쟁취에만 혈안이 돼 있는 정치행태는 이제 사라져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선거 때마다 당을 부수고 새로 만들던 방식과 다를 바 없는 공학적 접근`이란 비판에 대해 국민들은 또 인내하고 속아줘야 하는가? 더불어 안철수 교수의 지지율이 높은 이유가 야합의 정치구도에 국민들이, 특히 20~40세대들이 염증을 느꼈다는 점에서 안 교수의 행보를 주목하는 것이다.

데스크칼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