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남경필 의원이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복도발언`을 비판하고 나섰다.
그는 최근 방송에 잇따라 출연해 체포동의안이 부결된 정두언 의원에 대한 당 지도부의 강경 대응이 박 전 위원장의 복도발언에 따른 것이라고 전제하고 “(박 전 위원장이) 당 소속 의원으로서 의총에서 의견을 밝히고 토론의 과정에 녹아 들어가 결론이 나야 하는데, 의총에서는 그런 말을 안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의원들 앞에서 분명히 말해주고, 의원들 얘기도 듣고 결론을 내는 데 일원으로 동참하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
그의 이같은 발언은 박 전 위원장이 장외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을 빌어 사실상 자신의 의견을 당 지도부에 주문하고 있는, 이른바 `박근혜 사당화` 논란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박 전 위원장은 정두언 의원의 체포동의안이 부결된 후 후속대책을 논의하는 지난 13일의 의원총회에 참석하기 전 `복도`에서 기자들과 만나 “체포동의안은 당연히 통과됐어야 되는 것인데 반대 결과가 나온 것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리는 마음”이라며 유감을 표명하고 “(정두언 의원은) 평소 쇄신을 강조해온 분인 만큼 법 논리를 따지거나 국회에서 부결됐다, 안됐다를 넘어 평소의 신념답게 앞장서서 당당하게 이 문제를 해결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거취표명을 주문했다.
사퇴를 밝힌 이한구 원내대표에 대해서도 “어렵게 열어놓은 국회의 회기가 얼마 남지 않았고, 그 짧은 기간 동안 우리가 국민께 약속드린 것이 굉장히 많다”며 “통과시킬 것은 통과시키는 등 잘 마무리하고 해결하는 것도 또하나의 국민에 대한 큰 약속이고 책임이라고 생각한다”고 사퇴 반대의견을 밝혔다.
그의 이 복도발언 이후 황우여 대표는 의원총회 직후 기자회견에서 박 전 위원장의 발언내용과 크게 다르지않는 수습책을 내놓았고, 이한구 원내대표도 “당의 명령에 따르겠다”며 사퇴를 철회했다. 박 전 위원장의 말에 영향을 받고 (당 차원의) 결정은 안되다 보니 정상적인 당 의사결정구조가 아니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부분이다. `정두언 해법`은 박 전 위원장의 발언이 나오기 전에 이미 최고지도부가 가닥을 잡았던 것라고 당 지도부는 항변하고 있지만 `박근혜 1인 사당화` 및 `당내 민주주의 실종`논란은 박 전 위원장이 시급히 풀어야 할 문제다.
하지만 그는 신문방송편집인협회 토론회에서 사당화 논란과 관련, “국민에게 사과를 하고 잘못을 바로잡아야 하는데, 이것을 바로잡는 것을 사당화라고 한다면 문제의 본질을 비켜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자신의 의중이 당 지도부에 그대로 전달되고 실행되고 있는 부분이 적지않음에도 그는 고집을 굽히지 않고 있는 듯 하다.
대선 경선룰 문제로 `친박-비박`이란 당내 대립구도를 형성한 일정 부분의 책임에서도 자유롭지 못한 그가 새누리당의 당내 갈등을 양산하는 중심의 위치를 계속 고집한다면 본격 대선정국을 맞아 야권은 물론, 당내에서도 집중 포화를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지난 10일 박 전 위원장의 대선출정식은 `국민과의 소통`에 방점이 찍혀 있었다. 대선 출마 선언 장소를 `열린 광장`인 타임스퀘어로 선정한 것부터 행사 하나하나에 이르기까지 전부 지지자들과 함께하는 것으로 기획됐다. MB정부의 가장 큰 실책이 `소통부재`인 점을 반성한다면 `국민과의 소통`은 누가 대통령이 되든지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그런 의미에서 박 전 위원장은 국민과의 소통에 앞서 당내 소통을 먼저 이뤄내야 할 것이다. 그것도 당 지도부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복도정치`가 아니라 한사람의 의원으로서, 당내 유력 대권주자로서의 위치를 확인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