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이 정지된 응급환자 역시 5분 정도가 지나면 뇌사가 일어나 소생률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소방관서에서는 화재 줄이기 관련과 함께 소방차나 구급차가 5분 이내에 현장 도착할 수 있도록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출동명령 접수시간부터 소방차고문을 열고 나가는 시간을 단축하고자 24시간 항시 긴장상태로 있으며 1초의 시간이라도 앞당기려고 주·야 어떤 상황에서든지 불시에 신속한 출동이 가능하도록 출동훈련을 반복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화재나 응급환자 신고로 소방서에서 신속하게 출동해 현장으로 달려가다 보면 우리가 하는 노력이 헛수고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잦다. 소방차가 사이렌을 울리며 급하게 달려도 앞서가는 차들은 잘 비켜주지 않는다. 어떤 경우는 앞길을 소방차보다 앞서 달리는 차도 있고 소방차 뒤를 재빠르게 뒤따르는 차도 있다. 그들의 귀에는 화재나 사고 현장에서 생사의 기로에선 갈급한 외침이 단순히 내일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그 갈급한 구조의 외침이 내 가족일 수도 있는데….
현장으로 가는 길에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좁은 골목길에 주·정차한 차들 탓에 소방차가 진입을 못해 소방관은 타는 불과 함께 애를 태운다. 또한 시장이나 상가 골목은 노점, 좌판, 차광막 등 때문에 소방차의 출동을 가로막는다.
소방차나 구급차가 사이렌을 울리며 긴급하게 도로를 주행할 때 모든 차량은 우측으로 피양하여 1차선을 열어 신속한 출동을 도와주고 골목길에 주차할 때는 소방차나 긴급자동차가 다닐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두고 주차허가나 지정된 주·정차 장소 외에는 차를 세우지 않은 성숙한 국민의식이 요구된다.
아울러 시장, 상가 등에서 통로 노점이나 좌판, 차광막 등은 될 수 있으면 제거를 하거나 불가피한 경우에는 바퀴 등을 달아 긴급자동차 출동 시 즉시 피양 가능한 구조로 개선해 줄 것을 당부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