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내 제약업계, 이익률 높은데 투자는 소극적

연합뉴스 기자
등록일 2012-01-26 20:57 게재일 2012-01-26 13면
스크랩버튼
국내 제약기업들이 다른 제조업에 비해 높은 수익성과 안정적인 운영을 하고 있지만 판매관리비 비중이 높아 글로벌 제약사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고 연구개발(R&D) 투자도 소극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간한 `2011년 의약품산업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07년 이후 국내 제약산업은 경제침체에도 불구하고 연평균 12%의 안정적인 매출성장을 지속해왔다. 수익성도 좋았고 덕분에 자산 성장세도 빨랐다.

2010년을 기준으로 국내 제약산업의 영업이익률은 10.9%로 제조업 평균인 6.9%를 크게 웃돌았고 매출원가율은 52.6%로 제조업 평균치인 82.0%보다 훨씬 낮았다.

2010년 제약기업의 총 자산 증가율은 20.4%(전년대비)로 제조업 평균치인 11.7%의 2배에 육박하는 수준이었다.

부채비율은 55.3%로 제조업평균(101.5%)의 절반 수준, 자기자본비율은 64.4%로 제조업평균(49.6%)보다 약 15%포인트나 높았다.

그러나 광고나 리베이트 등 영업방식 때문에 매출액대비 판매관리비 비중은 아주 높았던 반면 연구개발비 비중은 미미했다.

보고서는 “국내 제약산업의 경영성과를 보면 높은 수익성과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확인할 수 있으나 보다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 확대와 생산구조 효율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산재보상 문답풀이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