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농산물 생산

정상호 기자
등록일 2012-01-05 22:33 게재일 2012-01-05 18면
스크랩버튼
김완규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팀장
지구의 생물영역은 크게 식물계, 동물계, 미생물계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미생물은 육안으로는 관찰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한 미세한 생물로서 대부분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진균, 세균, 바이러스, 원생동물, 조류 등을 포함한다.

미생물은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인간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예로서는 제빵, 양조, 식초, 치즈, 요구르트, 장류 등의 발효식품 생산, 항생물질 등의 의약소재, 화학, 바이오에너지, 제지 등의 산업공정 이용, 분해, 물질순환, 환경정화 등이다. 또 반면 인간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예로서는 인축과 식물에 전염병을 유발시키는 것이다. 인류의 역사에는 해로운 미생물로 인해 크나큰 재앙이 발생하기도 했다. 14세기 중엽에 흑사병으로 인해 유럽인구의 30%에 달하는 2천500만명이 희생됐으며, 1차 세계대전 직후에는 스페인독감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2천500만명 내지 5천만명이 희생되기도 했다. 또한 19세기 중엽에는 아일랜드에서 대 발생한 감자역병으로 인해 150만명이 굶어죽기도 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구제역과 조류독감으로 인해 수십만 마리의 가축이 몰살되는 일이 발생했다. 따라서 이러한 양면성의 미생물을 유익한 면에서 잘 활용하고, 해로운 영향으로부터 피해를 받지 않기 위해서는 미생물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최근 고품질 안전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친환경 농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환경친화적 농산물 생산이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미생물 연구자들은 화학비료와 화학농약 대체 미생물제 개발은 물론 축산 및 환경정화 미생물제 개발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국내에서 현재까지 개발돼 목록 공시된 미생물비료는 169종, 병해충 방제용 등록 미생물제는 32종, 사료 급여 및 악취 제거를 위한 등록 축산미생물제는 80여종이 된다. 이러한 미생물제로서 보급되는 많은 종류의 미생물은 살아 있는 상태로 사용됨으로서 환경조건에 따라서 효능의 변이가 심하다. 따라서 다양한 환경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다양한 토착 유용미생물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지속적인 친환경 농산물 생산을 위해서는 더욱 많은 종류의 미생물제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발언대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