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통계를 작성하는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단기적인 경기동향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월별 또는 분기별 경제시계열(원통계)은 단기적인 경제동향에 관한 정보를 지니고 있으나 1년 주기의 비교적 규칙적이며 변동성이 큰 계절변동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원통계 만으로는 경제의 기조적인 실제 흐름을 파악할 수 없다. 예를 들면 국내 총생산(GDP)은 농산물의 수확, 영업일수 등에 의해 매년 1/4분기 중에는 낮게, 4/4분기 중에는 크게 나타나며, 백화점의 매출은 명절이나 연말에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원통계 만을 가지고 경제흐름을 파악할 경우에는 경제시계열의 근원적 움직임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잘못된 판단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를테면 경기하강 추세에서 3/4분기 중 GDP보다 4/4분기 중 GDP가 크다고 해서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고 할 수 없으며, 11월에 낮았던 백화점의 매출실적이 12월에 높아졌다고 해서 경기가 호황국면으로 가고 있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계절변동조정이란 1년 주기의 계절변동성은 물론 명절, 요일 등 규칙적 변동을 통계적으로 추출해 원래의 통계로부터 제거하는 절차를 말한다. 계절변동조정통계는 조사 또는 추계된 통계에 일정한 통계기법을 적용한 가공통계로서 원통계의 구성성분(추세변동·순환변동·계절변동 및 불규칙변동) 중 비교적 안정적이고 규칙적인 변동요인(계절변동)을 제거한 것이다. 계절변동조정 관련 통계는 각종 정책수행 시 주요 정보로 활용되고 있으며 IMF 등 국제기구에서도 경제분석 시 동 통계를 작성·이용하고 있다.
/권숙자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