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계절 변동 조정

권숙자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과장
등록일 2011-11-03 21:05 게재일 2011-11-03 13면
스크랩버튼
우리가 경제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종 경제통계의 월별,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시계열통계는 기후, 생활상의 습관, 사회적 관습 등으로 인해 매년 같은 시기에 같은 변화를 주기적으로 나타내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경제통계를 작성하는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단기적인 경기동향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월별 또는 분기별 경제시계열(원통계)은 단기적인 경제동향에 관한 정보를 지니고 있으나 1년 주기의 비교적 규칙적이며 변동성이 큰 계절변동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원통계 만으로는 경제의 기조적인 실제 흐름을 파악할 수 없다. 예를 들면 국내 총생산(GDP)은 농산물의 수확, 영업일수 등에 의해 매년 1/4분기 중에는 낮게, 4/4분기 중에는 크게 나타나며, 백화점의 매출은 명절이나 연말에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원통계 만을 가지고 경제흐름을 파악할 경우에는 경제시계열의 근원적 움직임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잘못된 판단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를테면 경기하강 추세에서 3/4분기 중 GDP보다 4/4분기 중 GDP가 크다고 해서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고 할 수 없으며, 11월에 낮았던 백화점의 매출실적이 12월에 높아졌다고 해서 경기가 호황국면으로 가고 있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계절변동조정이란 1년 주기의 계절변동성은 물론 명절, 요일 등 규칙적 변동을 통계적으로 추출해 원래의 통계로부터 제거하는 절차를 말한다. 계절변동조정통계는 조사 또는 추계된 통계에 일정한 통계기법을 적용한 가공통계로서 원통계의 구성성분(추세변동·순환변동·계절변동 및 불규칙변동) 중 비교적 안정적이고 규칙적인 변동요인(계절변동)을 제거한 것이다. 계절변동조정 관련 통계는 각종 정책수행 시 주요 정보로 활용되고 있으며 IMF 등 국제기구에서도 경제분석 시 동 통계를 작성·이용하고 있다.

/권숙자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과장

경제카페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