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력발전소 유치의 가장큰 핵심은 환경이다. 자금력 검증이나 기술적인 문제 등도 중요하지만 일단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우선이다. 과연 얼마나 친환경적으로 화력발전소를 건립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지만 화력발전소에 대한 인식이 일반적으로 긍정적이지 않다는데 문제가 있다.
그래서인지 정부정책도 화력발전소의 전기생산량을 점차적으로 줄여나간다는 방침이다. 현재 40%인 화력발전소 발전량을 2020년대에는 30%로 줄이게 된다. 대신 원자력을 40% 수준으로 올린다는 방침을 지난 2010년 5차 전기수급계획에서 확정했다. 정부정책도 환경단체와 시민들의 눈을 의식해 화력발전소를 줄여나가는 추세인 것이다. 왜 화력의 비중이 이렇게 높을까. 답은 간단하다. 전기생산원가가 청정연료에 비해 훨씬 저렴하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런데 친환경적인 화력발전소를 건립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다소 억지성이 있다고 보면 될 것 같다. 29일 환경단체가 반대대책위 구성을 알리는 기자회견에서“무연탄이 분말처럼 부드러워 일단 손에 닿으면 보름정도 씻어야 없어진다고 했는데 반대로 생각하면 부드러운 만큰 대기중에 날릴 가능성은 더 높아지고 피해범위는 더 확산된다고 보면 된다”고 전한 타지역의 견학에 대한 입장은 의미심장한 얘기가 아닐수 없다.
화력발전소 유치를 위해서는 몇가지 전제조건도 필요하다. 지역사회전반에 깔린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에서부터 지역에 주어진 환경조건 등이 충분히 검토돼야 하는 것이다.
포항에 유치하는 화력발전소는 해안 매립이 불가피하다. 좋은 표현을 빌리자면 임해공업단지를 조성한다고 보면된다. 이렇게 되면 먼저 해안의 환경파괴는 어쩌 수 없이 받아들여할 운명이 되고 만다. 포항의 전체 해안선 가운데 일부가 사라진다는 얘기다. 다음은 해안매립과 온배수로 인한 해양생태계 변화다. 물길이 바뀌면 어종도 사라질 수 있고 온배수로 인한 어종의 변화도 예상된다.
현재 찬성의사를 표명한 장기와 일부 구룡포지역은 천혜의 자연경관을 자랑하고 있다. 수려한 청정해안이지만 해안이 매립되면 이지역은 더이상의 청정해안을 기대하기 힘들게 된다. 전체해안선의 일부라고는 하지만 피해는 그 이상일 것이라는 것이 환경단체의 주장이다.
해안매립에 이어 발전소가 본격가동되면 대기오염을 걱정해야 한다. 포항은 현재 청정연료지역이다. 고체연료를 사용해서는 안된다는 얘기다. 국내 대형 공업단지가 있는 지자체는 청정연료사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대기오염을 줄여보자는 정부차원의 정책인 것이다. 그런 포항지역에 무연탄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소 유치는 일단 실현가능성이 떨어져 보일 수 밖에 없다.
이런 악조건속에서 포항시청은 유치를 선택했고 이제 중반을 넘어 최종 후보지선정도 얼마 남지 않았다. 토론회도 좋고 공청회도 좋은데 제발 물리적 충돌은 없어야 한다. 찬반에 대한 생각은 각자의 주어진 입장에 따라 모두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내가 원치 않는다고 남에게까지 강요 할수는 없는 것이다. 서로를 존중하며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하는 것이 순리다. 포항시민의 성숙된 시민의식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