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들은 오늘 하루도 도움의 손길을 향해 달려가는 사이렌 소리와 함께 시작한다. 매번 출동때마다 느끼지만 출동대원의 마음을 무겁게 하는 것은 현장으로 달려가야 하는 급한 마음과는 달리 꽉 막힌 도로다. 소방통로란 화재 또는 구조·구급 발생시 소방력(소방차)이 출동·진입하는 포괄적인 공간이다. 도로에서부터 주택가와 아파트 사이의 골목, 상가밀집지역, 재래시장 그리고 그 밖의 좁은 골목들까지가 바로 그것이다. 화재나 구조·구급과 같은 사건사고 발생 시, 5분이내 신속한 현장 도착은 사건의 물적·인적 피해를 최소화 하는 최선의 길이다. 소방력이 출동하는 사건사고의 특성상 이는 물적(物的) 피해뿐만이 아니라 당장 누군가의 생명이 달린 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위한 소방통로의 확보가 현실에서는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
선진 외국의 경우에는 긴급차 출동시에는 모세의 기적(긴급차 출동시 주행 차량들이 양쪽으로 피양해서 긴급차에게 길을 터줌)이 일어나고, 긴급차 피양 의무를 위반 할 경우에는 많은 범칙금을 내야한다. 하지만 우리의 현실은 긴급차에 대한 법적인 제도가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현재 소방통로 확보 문제점으로는 교통량의 증가, 불법 주정차, 일부 시민의 양보의식 부족, 긴급차량 소통을 위한 교통신호 체계 및 시스템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를 개선을 위해서는 시민 개개인의 의식변화 즉 긴급 자동차에 대한 양보의식이 가장 절실하다.
2011년에도 전국 소방관서에서는 `화재와의 전쟁 2단계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다. 화재발생시각으로부터 현장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을 5분 이내로 단축하기 위해 소방통로확보 훈련, 소방차 길터주기 홍보방송 등 다양한 시책을 펼치고 있다. 촌각을 다투는 재난현장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 때문에 소방차 도착이 늦는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나, 가족, 이웃에게 돌아간다는 것을 인식하고 소방차, 구급차 길터주기에 적극적으로 동참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