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10대 청소년 티눈·사마귀 주의 하세요

최승희기자
등록일 2011-05-17 20:21 게재일 2011-05-17 14면
스크랩버튼
10대 청소년을 중심으로 `티눈 및 사마귀 질환`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눈 또는 사마귀가 손등이나 전박부에 생길 경우는 업무 또는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간주해 비급여대상이나, 발바닥, 발가락, 발 등에 생겨 보행이나 신을 신는데 통증이나 불편을 줄 경우에는 동 사마귀 제거 또는 티눈 제거는 급여대상이다.

◇티눈·사마귀 환자 4년 동안 1.5배 늘어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이 지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티눈질환 및 사마귀질환의 진료환자가 2006년 36만9천명에서 2010년 55만1천명으로 나타나 최근 4년간 1.5배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티눈 진료환자는 2006년 24만3천명에서 2010년 31만2천명으로 최근 4년간 1.3배, 연평균 6.42%씩 증가했고 2010년 기준으로 티눈 환자는 남성이 15만5천명, 여성은 15만6천명으로 나타나 남성과 여성간의 진료인원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을 기준으로 연령별 10만명당 진료환자는 10대 연령층이 1천179명으로 가장 많이 진료를 받았다.

성별로는 10대 여성이 1천175명, 20대 655명, 9세 이하 646명, 30대 460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10대 1천182명, 20대 744명, 9세 이하 717명의 순을 보였다.

사마귀질환 진료환자는 2006년 13만6천명에서 2010년 25만8천명으로 최근 4년간 1.9배, 연평균 17.4%씩 증가했다.

2010년 기준으로 사마귀질환 환자는 남성이 13만5천명이며 여성은 12만3천명으로 나타나 남성이 여성보다 조금 더 진료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마귀 질환의 인구 10만명 당 진료환자는 티눈 질환과 같이 10대가 가장 진료를 많이 받았고 20대이하 연령층에서 많은 의료이용을 보였다.

2010년 기준으로 남성의 경우에는 인구 10만명당 환자가 10대가 1천368명으로 가장 높았고 9세이하 1천132명, 20대 654명 순이었고 여성의 경우는 10대 1천343명, 9세이하 1천11명, 20대 625명순을 보였다.

◇증상 및 치료법

△티눈

티눈은 연성(soft)과 경성(hard) 두 가지 형태로 나누는데 경성 티눈은 주로 발가락 위나 발바닥에 생기며 연성 티눈은 발가락 사이에 잘 생긴다. 예방을 위해서는 주 원인인 마찰이나 압력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발에 잘 맞는 신발을 신고 바른 걸음걸이로 걸어서 압력이 어느 한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더운 물로 살을 불린 후 면도칼로 조심해서 깎아내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으나 감염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사마귀

사마귀는 주로 어린이에게 발생한다. 대부분이 5~20세 사이에 발생하고 15% 정도에서만 35세 이후에 나타난다.

최근 사마귀 질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유는 전에는 병원을 가지 않았던 환자들이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가 느는 이유가 있겠고, 또 어린이들의 면역력이 과거에 비해 떨어진 이유도 있을 수 있겠다.

주로 어린이에게 나타나며 자연 치유 빈도가 높다. 특히 발바닥의 사마귀는 체중에 의해 눌려서 티눈처럼 피부 속으로 파고들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티눈과 감별진단을 하여야 한다. 음부 사마귀는 자궁경부암과 관련이 있고 가장 흔한 성인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성기 사마귀는 전염력이 강해 한번 성교로 50%가 감염될 수 있으며 성교 2~3 개월 후에 병변이 발생한다.

/최승희기자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