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와 회동한 자리에서 “개각이 국면 전환용으로 사용되는 것에는 동의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다음 달 초 내각과 청와대 참모진의 중폭 이상 개편이 있을 것이라는 정치권 일각의 예상을 깨고 국면전환용 개각은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받아들여져 주목된다.
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인적 쇄신이 없을 것임을 시사하는 말을 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 대통령은 다만 정치권에서 제기되는 국정 쇄신 문제 등에 대해 TV 출연 등을 통해 입장을 밝히는 게 좋겠다는 박 대표의 건의에 대해서는 “알겠다”고 답했다.
청와대는 이에 따라 이 대통령이 TV 출연 등을 통해 향후 국정 운영과 관련한 대국민 입장 표명을 하는 방안을 조심스럽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입장 표명) 형식 등을 좀 고민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전시 작전통제권 이양과 관련해선 “(한미) 두 나라간 합의된 사항이므로 무효로 할 수 없다”면서도 “남북 관계가 어렵게 되면 동맹국으로서 시기를 연기할 수도 있는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고 박 대변인이 전했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한미 정상이 이양 시기 연기에 공감대를 이룬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지만, 청와대 측은 “연기에 대해 공감대가 생긴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청와대 측은 “한미 전작권 재조정 문제는 당초 계획대로 이행되지만 그 이행 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평가해 반영하길 기대한다는 게 정확한 우리의 입장”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