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0일 여권 내부에서 제기되는 인적 쇄신론과 관련해 "장관을 수시로 바꾸는 것은 국정 운영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와 회동한 자리에서 "개각이 국면 전환용으로 사용되는 것에는 동의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다음 달 초 내각과 청와대 참모진의 중폭 이상 개편이 있을 것이라는 정치권 일각의 예상을 깨고 국면전환용 개각은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받아들여져 주목된다.
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인적 쇄신이 없을 것임을 시사하는 말을 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 대통령은 다만 정치권에서 제기되는 국정 쇄신 문제 등에 대해 TV 출연 등을 통해 입장을 밝히는 게 좋겠다는 박 대표의 건의에 대해서는 "알겠다"고 답했다.
청와대는 이에 따라 이 대통령이 TV 출연 등을 통해 향후 국정 운영과 관련한 대국민 입장 표명을 하는 방안을 조심스럽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입장 표명) 형식 등을 좀 고민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전시 작전통제권 이양과 관련해선 "(한미) 두 나라간 합의된 사항이므로 무효로 할 수 없다"면서도 "남북 관계가 어렵게 되면 동맹국으로서 시기를 연기할 수도 있는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고 박 대변인이 전했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한미 정상이 이양 시기 연기에 공감대를 이룬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지만, 청와대 측은 "연기에 대해 공감대가 생긴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청와대 측은 "한미 전작권 재조정 문제는 당초 계획대로 이행되지만 그 이행 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ㆍ평가해 반영하길 기대한다는 게 정확한 우리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 건설과 관련해선 "당초 계획대로 진행 중"이라며 "정부 마음대로 취소하고 변경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북핵 문제와 관련, 이 대통령은 "한미 간 북한이 행동으로 변화하지 않는 한 그 어떤 보상도 하지 않는다는 분명한 약조가 있었다"면서 "그 약조는 북한이 3차 핵실험을 감행해도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6자 회담 참가국 중 북한을 뺀 나머지 5개국이 북핵 해법을 논의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정상회담에서) 5자 회담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있었으나 대북관계가 여러 예민한 부분이 있기에 선언에 들어가지 않은 것뿐"이라며 "5자 회담을 하겠다는 뜻과 내용에 대해서는 방미 직전에 중국에도 통보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