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박쥐

관리자 기자
등록일 2009-05-15 21:26 게재일 2009-05-15
스크랩버튼

뱀파이어 신부 … 친구의 아내를 탐하다

병원에서 근무하는 신부 ‘상현’은 죽어가는 환자들을 보고만 있어야 하는 자신의 무기력함에 괴로워 하다가 해외에서 비밀리에 진행되는 백신개발 실험에 자발적으로 참여한다.


그러나 실험 도중 바이러스 감염으로 죽음에 이르고, 정체불명의 피를 수혈 받아 기적적으로 소생한다. 하지만 그 피는 상현을 뱀파이어로 만들어버렸다.


피를 원하는 육체적 욕구와 살인을 원치 않는 신앙심의 충돌은 상현을 짓누르지만 피를 먹지 않고 그는 살 수가 없다. 기적적으로 생명을 건진 상현은 그가 기적을 일으킬 수 있다고 믿고 기도를 청하는 신봉자들 사이에서 어린 시절 친구 ‘강우’와 그의 아내 ‘태주’를 만나게 된다.


뱀파이어가 된 상현은 태주의 묘한 매력에 억누를 수 없는 욕망을 느낀다. 태주 또한 히스테리컬한 시어머니와 무능력한 남편에게 억눌렸던 욕망을 일깨워준 상현에게 집착하고 위험한 사랑에 빠져든다. 모든 것을 포기할 만큼 태주를 사랑하게 된 상현은 끝내 신부의 옷을 벗고 그녀의 세계로 들어간다.


인간적 욕망의 기쁨이 이런 것이었던가. 이제 모든 쾌락을 갈구하게 된 상현은 신부라는 굴레를 벗어 던진다. 점점 더 대담해져만 가는 상현과 태주의 사랑.


상현이 뱀파이어라는 사실을 알게 된 태주는 두려움에 거리를 두지만 그것도 잠시, 상현의 가공할 힘을 이용해 남편을 죽이자고 유혹한다.


사랑이란 이름으로 더욱 그를 조여 오는 태주. 살인만은 피하고자 했던 상현은 결국 태주를 위해 강우를 죽이기 위한 그녀의 제안을 받아들이게 된다.


박찬욱 감독은 ‘올드보이’, ‘복수는 나의 것’, ‘친절한 금자씨’로 이어지는 전작들을 통해 도덕적 딜레마에 직면한 인물이 구원받기 위해 치열하게 싸우는 과정을 조명, 인간의 실존문제를 끊임없이 탐구해왔다.


그렇다면 ‘신부’, ‘뱀파이어’, ‘살인’의 문제를 들어 윤리와 구원, 폭력의 문제를 그린 ‘박쥐’는 결국 박찬욱 감독 작품세계 종국의 지향점이라 할 수 있겠다.


휴머니즘의 대표적인 표징이라 할 수 있는 신의 사제가 타인의 피를 섭취해야만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뱀파이어가 된다는 아이러니는 박찬욱 감독이 다뤄온 ‘죄’와 ‘구원’의 문제를 가장 이상적으로 표현할 수 설정이기 때문이다.


박찬욱 감독은 10년 전부터 ‘박쥐’를 기획하며 설계해 왔다고 한다.


‘공동경비구역 JSA’ 촬영 당시부터 송강호에게 출연을 제의하고, ‘쓰리, 몬스터’에서 뱀파이어물을 만드는 영화감독이라는 설정을 도입해 ‘박쥐’프로젝트의 가능성을 시험했다.


전작들을 통해 다져온 과감한 생략과 편집, 극한까지 몰아붙이는 카메라 워크 등 특유의 영상 기법들을 더욱 세련되게 다듬어 ‘박쥐’ 속에 총 집합시켰다.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등으로 함께 호흡을 맞춘 대한민국 최고의 스탭들 역시 ‘박쥐’를 통해 최상의 기량을 폭발력 있게 선보인다.


‘박쥐’는 메시지와 스타일, 모든 면에서 박찬욱 감독의 영화세계를 집약해 놓은 영화로 관객들은 ‘박쥐’를 통해 ‘박찬욱 월드’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복수는 나의 것’, ‘살인의 추억’, ‘괴물’ 등으로 다양한 캐릭터를 연기해오면서 오랜 시간 ‘박쥐’를 고민해왔던 송강호는 비현실적인 뱀파이어 캐릭터가 아닌 신념과 욕망 사이에서 갈등하는 오히려 인간적인 면모를 강하게 드러내는 새로운 뱀파이어 캐릭터를 탄생시켰다.


한국에서는 생소할 수 있는 뱀파이어라는 캐릭터를 현실감 있게 느끼도록 하는 것은 송강호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