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ㆍ교육ㆍ경제ㆍ민간분야등 교류ㆍ협력 자매결연
포항시와 수원시가 올해 시 승격 60년을 맞아 지방자치 발전과 공동 번영을 위해 손을 잡고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기로 했다.
포항시와 수원시는 9일 포항시청 대회의실에서 박승호 포항시장과 김용서 수원시장을 비롯해 양도시 시의회의원, 유관기관 자생단체장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자매결연 조인식을 가졌다.
수도권 최대 도시와 경북 제1의 도시가 손을 잡음으로서 포항은 과메기 물회 등 지역 먹거리 상품화와 관광객 유치, 수도권에 지역 농산물직판센터 운영 등을 통해 지역 경제활성화를 촉진하고 수원시는 포항과의 교류를 통해 포항지역 싱싱한 농수산물을 저렴하게 살 수 있게 됐으며 청소년 정서함양프로그램은 물론 도심을 벗어난 휴식공간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은 셈이다.
특히 1949년 8월15일 같은 날 시로 승격한 두 도시는 첨단산업단지를 갖추고 있으며 교육도시의 명성에 걸맞은 명문학교가 있고 지향점이 비슷하다는 공통점이 있어 이번 자매결연이 상당한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항에는 포스코를 비롯한 국가기간산업과 국가나노기술집적센터, 포항지능로봇연구소 등 첨단과학도시와 포스텍, 한동대 등 교육도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수원시는 삼성전자와 SK케미칼 등 대기업과 나노센터특화팹센터, 광교테크노밸리 등 첨단산업도시이다. 여기에다 성균관대, 경기대, 아주대 등 유수의 명문학교가 있다.
이날 박승호 포항시장은 “경기도와 경북도를 대표하는 수원시와 포항시의 자매결연은 많은 분야에서 상호 윈-윈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특히 경제분야에 시너지 효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박 시장은 “민간분야에도 많은 교류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김용서 수원시장은 “포항시와 함께 시 승격 60주년을 맞은 해에 자매결연을 맺은 것을 뜻깊게 생각한다”며 “실질적인 상호교류를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매결연 조인식 이후 수원시청 방문단은 이명박 대통령 고향인 덕실마을과 중앙상가 실개천을 둘러보고 10일에는 포스코와 방사광가속기연구소, 포항지능로봇연구소 견학, 죽도시장 투어에 나선다.
한편, 포항시는 전남 광양시, 전북 부안군, 서울 노원구, 대구 수성구에 이어 수원시와 자매결연으로 자매결연도시가 5곳으로 늘어났다.
/안창한기자 chah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