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공항 바다 메운 활주로 일부 물 위로…가두봉해안 사석 일부와 케이슨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2-05-24 14:12 게재일 2022-05-24
스크랩버튼
울릉읍 사동리 가두봉 섬일주도로에서 바다를 메워 울릉공항 할주로가 건설되는 모습 
울릉읍 사동리 가두봉 섬일주도로에서 바다를 메워 울릉공항 할주로가 건설되는 모습

울릉공항건설의 가장 난공사인 바다를 메우는 매립공사가 순조롭게 진행되면서 케이슨(caisson)과 사석이 물 위로 올라오는 등 공사 진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울릉공항은 바다를 메워 육지와 연결하는 활주로공사가 가장 큰 난공사다.  현재 가두봉과 활주로를 연결하는 공사 중 수심이 가장 얕은 해안에서 첫 번째 케이슨이 안착 된 방향으로 바다를 매운 사석이 물 위로 올라왔다.

수심 30~40m의 바다 속에 사석을 거치하고 채우는 공사는 실제로 직접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하게 투하하기도 어렵고 파도에 의해 일부 유실되는 일도 있기 때문에 공사 진행이 어렵다.

바다를 메워 활주로 기반을 다지고 있다. 멀리 첫 번째 안착한 케이슨이 보이고 있다. 가두봉해안에서 케이슨까지 360m는 사석으로 연결된다.
바다를 메워 활주로 기반을 다지고 있다. 멀리 첫 번째 안착한 케이슨이 보이고 있다. 가두봉해안에서 케이슨까지 360m는 사석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석을 투하해 다지고 그 위해 케이슨(대형 시멘트 구조물)을 설치한 것은 공사 진도가 상당하다는 의미다. 활주로가 건설되는 해상의 수심은 얕은 지역 20m 가장 깊은 지역은 42m 로 알려졌다.

지난 21일 활주로 공사현장인 울릉(사동) 항 동방파제 부근 바다 한가운데 육지(가두봉)서 360m거리, 수심 28m 깊이의 한 바다에 첫 케이슨을 안착한 것은 공사 진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증거다.

울릉공항을 건설 중인 DL이앤씨 컨소시엄에 따르면 현재 사석이 물 위까지 올라온 거리는 육지에서 약 100m 정도 이며 첫 케이슨(해발 4m)이 설치된 곳까지 260m 정도 남았다. 

울릉공항이 건설되는 울릉(사동)항 방파제 외곽에 선박 3척이 떠 있는 장소가 케이슨과 사석을 투하하고 있는 지역이다.
울릉공항이 건설되는 울릉(사동)항 방파제 외곽에 선박 3척이 떠 있는 장소가 케이슨과 사석을 투하하고 있는 지역이다.

현재 사석 투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첫 번째 케이슨 투하지점과 육지까지는 빠르게 연결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물 위에 올라온 활주로 기반 시설은 케이슨 36m와 사석 100m 등 136m이다. 

이번에 첫 번째 케이슨이 설치된 장소는 케이슨 설치 구간 중 수심(28m)이 가장 낮은 지역이다. 이곳에서 육지까지(거리 360m)는 사석으로만 채워지고 높이 약 4m 정도 물 위로 올려서 그 위에 상치 콘크리트가 쳐진다.

첫 번째 케이슨 설치 장소에서 바다 방향(활주로 끝 부분까지)으로는 케이슨의 크기에 따라 해저에서 14m~20m 정도를 사석으로 기반을 다지고 케이슨 30여 함을 사석 위에 설치,  물 위로 올라오게 한다.

울릉읍 사동리 가두봉해안에 사석을 투하 중인 장면
울릉읍 사동리 가두봉해안에 사석을 투하 중인 장면

바다를 메워 건설되는 울릉공항 활주로는 항구의 방파제를 건설하는 것과 같은 공법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시멘트 구조물인 케이슨은 바다를 메우는데 필수적이다. 

울릉공항은 활주로 길이 1천200m, 폭 36m로 기초를 구성하는데 케이슨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사석으로 바다를 채우고 위에 케이슨을 거치하는 작업이 공사의 성공 여부를 가름할 정도다.

울릉공항 활주로 공사에 사용되는 케이슨은 1함 당 길이 약 32m, 너비 20~32m, 높이 18m~27.5m다. 무게는 이번에 첫 번째 투하된 케이슨이 가장 작은 8천589t이고, 가장 큰 케이슨은 1만 6천411t에 달한다.

사석 투하를 위해 대기 중인 사석 선적 바지선
사석 투하를 위해 대기 중인 사석 선적 바지선

울릉공항 활주로에 사용될 케이슨은 19일 첫 번째 운반을 시작으로 앞으로 29 함을 포항 영일만항 울릉공항 케이슨 제작현장에서 차례대로 공사현장으로 이동, 울릉공항 활주로 건설의 기반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케이슨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과정에 따라 활주로 기반이 물 위로 올라오게 된다. 육지(가두봉)에서 360m는 사석을 투하해 첫번째 거치된 케이슨과 연결되면 울릉공항 활주로가 어느 정도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울릉공항 조감도
울릉공항 조감도

현재 첫 번째 케이슨 설치가 끝났고 기상이 좋으면 케이슨 이동이 순조로울 것으로 보인다. 육지(가두봉)로부터 사석을 투하 바다를 메우면서 물 위로 올라온 부문이 100m가 달하는 등 울릉공항 건설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가두봉 절취를 위해 우회도로 확보로 개설한 터널이 곧 개통할 것으로 보여 가두봉 절취를 통해 대량의 사석이 확보됨에 따라 울릉공항건설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