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프로젝트 수주부진으로 가동률 `뚝`<BR>포항공장 폐쇄설…회사 측 “전혀 사실무근이다”
포항철강공단 내 세아제강, 넥스틸, 아주베스틸에 이어 후육강관 전문생산업체인 스틸플라워도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대우조선해양과 85억4천343만원에 후육강관 납품 계약을 체결했으나 올해 초 돌연 해지되면서 경영난이 악화됐다는 것.
이에 따라 최근 스틸플라워 포항공장이 폐쇄될 것이라는 괴소문까지 나돌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스틸플라워의 주요 수요 산업인 해양플랜트 시장상황이 갈수록 개선되지 않고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들이 나오면서 포항공장 폐쇄설에 대한 무게감이 실리고 있다.
하지만 스틸플라워 포항공장 측은 현재 아무것도 결정된 것이 없고, 정상적으로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틸플라워 포항공장 관계자는 “지난해 해양플랜트 프로젝트 수주부진으로 포항공장 가동률이 다소 떨어진 것은 사실이다”며 “하지만 공장 폐쇄설은 전혀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했다. 포항공장은 지난해 한때 일감이 떨어져 공장가동을 잠시 중단한 적은 있다.
스틸플라워의 주력제품인 후육강관은 두께가 20mm 이상인 후판을 이용해 만드는 철강재다. 주로 원유시추선(드릴십)이나 부유식 원유생산 저장설비(FPSO), 송유관 등에 쓰이는 고부가가치 강관이다.
스틸플라워는 지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했고, 재무건전성도 크게 떨어진 상태다. 더욱이 스틸플라워 본사 차원의 포항공장에 대한 구조조정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스틸플라워는 향후 해양플랜트 분야와 연관된 사업 프로젝트를 수주하지 않으면 경영개선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북미 셰일가스 특수에 실패한 세아제강, 넥스틸, 아주베스틸 등에 이어 후육관 전문생산업체인 스틸플라워마저 위기감에 휩싸이고 있다.
한편 1999년에 창립된 스틸플라워는 부산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포항공장을 비롯 진영, 순천, 김해 등 4개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김명득기자
mdkim@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