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리랑카에서 유학 온 다미뜨씨는 올 가을 영남대 영어영문학부 신입생이 된다. 다미뜨씨는 스리랑카 남서해안도시인 갤(Galle)에서 살고 있는 72세의 아버지와 영남대 영어영문학부에서 회화와 작문을 가르치는 59세의 미국인 가드너(Graig Gardner) 교수, 두 분이다. 두 사람의 첫 만남은 20년여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원래 사파이어 가공무역업 분야에 종사하다가 개인적 아픔을 겪고 나서 봉사활동에 투신하게 된 가드너씨가 미국평화봉사단(US Peace Corps)으로 첫 파견된 곳이 스리랑카로 그곳에서 만난 수많은 사람 중 유달리 눈길을 끈 한 어린이가 다미뜨였던 것.
“유난히 검고 초롱초롱한 눈동자를 지닌 한 꼬마가 활짝 웃으며 다가와 내게 악수를 청했다. 다른 아이들과 달리 스스럼이 없었던 다미뜨는 천사 같은 미소를 지닌 아이였고 정말 총명했다. 다미뜨 덕분에 힘들거나 괴로운 일들도 다 잊을 수 있었다”며 가드너씨는 당시 다섯 살배기 꼬마 다미뜨를 기억했다.
3년 뒤 귀국 후에도 그는 다미뜨와의 연락을 계속했다. 스리랑카에서도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난 다미뜨가 안쓰러웠기 때문이다. 맏형과 21살 터울이 나는 다미뜨는 7남매 중 막내다. 그런 그에게 대학진학은 이룰 수 없는 꿈에 불과했다. 그러나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호텔에서 아르바이트하던 다미뜨는 가드너 씨의 도움으로 2006년 네덜란드로 배움의 길을 떠날 수 있었다.
다미뜨는 네덜란드에서 어학연수와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면서 틈틈이 대학 강의를 청강했다. 이를 안 가드너 씨는 또 한 번 다미뜨에게 배움의 길을 터주었다. 2006년부터 영남대 영어영문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던 가드너 씨가 다미뜨에게 한국 유학을 권했던 것. 덕분에 다미뜨는 2008년 12월 영남대 한국어교육원에 입학했고, 반 학기만인 지난 6월 한국어자격시험에 합격하고 나서 마침내 꿈에도 그리던 대학생이 된 것이다.
/서인교기자 igseo@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