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 1만7천명 가량 이동
울릉, 유출 인구 전국 2번째
사유 “집 때문에” 38%로 최다
매매 59%·전월세 거래 12% ↑
공공기관 지방이전 마무리 단계
수도권 순유입 인구 급격히 증가

시도별 순이동률. /통계청 제공
시도별 순이동률. /통계청 제공

지난해 대구와 경북의 인구 유출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북 울릉군의 인구 유출은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가운데 두 번째로 높았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인구이동자 수는 5년 만에 가장 많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에서는 모두 1만7천 명의 인구가 유출되면서 인구 순이동률 -0.7%를 기록했다. 순이동자 수에서는 6만5천 명이 유출된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으며, 순이동율에서는 각각 -1.2%와 -0.8%를 나타낸 대전시와 울산시에 이어 세 번째였다. 경북도 대구와 마찬가지로 지난해 1만7천 명 가량의 인구가 이동했다. 순이동률로는 -0.6%였다.

더욱이 대구와 경북의 인구는 지난 2010년 이후 꾸준하게 유출되고 있었다. 대구의 경우, 지난 2010년 1만2천 명이 유출된 이후 2015년과 2019년에도 각각 1만3천 명과 2만4천 명이 떠났다. 경북도 2010년 4천 명이 줄어든 이후 계속해서 인구감소가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경북 울릉군은 인구 순유출률 -5.6%로 전국 시·군·구 가운데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인구 순유출률을 기록한 지자체는 경기 광명시로 -6.0%였다.

그렇다면, 우리 지역을 떠난 이들은 어느 지역으로 보금자리를 옮겼을까. 대구에서 유출된 인구가 가장 많이 자리를 잡은 곳은 경북이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대구에서 전출한 인구의 41.8%가 경북이었다. 이어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가 각각 14.1%와 13.9%였다. 경북도 마찬가지였다. 경북을 떠난 인구의 32.1%는 대구였으며, 경기가 16.7%, 서울이 13.0%였다.

반면, 대구를 찾아오는 전입자의 직전 보금자리는 경북(48.7%), 경남(10.2%), 서울(9.6%)였으며, 경북을 찾아오는 전입자의 직전 주소지는 대구(37.2%), 경기(12.8%), 서울(9.9%) 순이었다.

사유를 따져보면, 결국 집 문제였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 김수영 인구동향과장은 지난해 인구이동이 크게 늘어난 데 대해 “주택 매매가 (전년대비) 59%, 전월세 거래가 12% 증가하는 등 주택 거래가 증가한 영향이 컸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인구이동자 중 사유로 ‘주택’ 문제를 꼽은 답변은 38.8%로 가장 많았다. 773만5천 명 중 300만5천 명이 집 문제 때문에 이사를 했다. 주택 문제는 통상 내집 마련과 전월세 만기 및 평형 확대·축소를 위한 이동 등 사유로 구성된다. 가족 문제로 이사했다는 응답은 23.2%, 직업은 21.2% 순이었다.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마무리되면서 국토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도 인구 유출에 영향을 끼쳤다. 지난해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인구는 8만8천 명으로 2006년(11만1천700명) 이후 14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도권 순유입 인구는 2013~2016년에 마이너스를 기록하기도 했으나 공공기관 이전이 종료되자 급격히 우상향 곡선으로 전환되고 있다. 20~30대 젊은 지방 인구가 학교와 직장이 많은 수도권으로 이동하면서 지방의 인구가 줄어드는 대신 수도권이 비대해지는 고질적인 현상이 재현되는 것이다.

순유입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곳은 경기 지역이다. 16만8천 명이나 순유입됐다. 다만, 경기는 서울에서 빠져나가는 인구와 여타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이전하는 인구가 만나는 공간이다.

이와 관련. 김병수 울릉군수는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관광객 감소로 인구 유출이 심각한 것으로 파악된다”면서 “지역의 인구 증가를 위한 각종 정책을 준비할 것이다. 중앙 차원의 지원도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