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영재<br>포항예총 회장
류영재
포항예총 회장

자기정체성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은 당연히 자기 자신이다. 그러나 타인에게 자신의 내면을 사실 그대로 온전히 전달하기는 쉽지 않다.

그 까닭은 사람이 완전할 수 없는 존재이므로 누구에게나 부끄러운 과거가 있기 마련이고, 그것을 솔직하게 말하기가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이유는 사람들 간의 관계 때문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란 것이 얼마나 복잡다단하던가. 때에 따라서는 사실대로 말하지 않는 것이 옳은 경우도 있다. 선의의 거짓말이 그렇고, 분위기를 재미있게 이끌어 갈 목적으로 상황을 과장하는 경우도 있으며, 또 대개는 자신의 얘기에만 집중하여 타인의 일에는 그다지 관심이 없으므로 굳이 바로잡을 이유도, 그럴 기회도 없을 때가 많다.

그림 소재로서의 길에 대한 내 생각도 그렇다. 화가로서 나는 주로 소나무를 그린다. 소나무만 그린다는 표현이 오히려 정확할지도 모르겠다. 소나무 외에는 거의 그리지 않으니, 이런 나를 두고 어떤 이들은 ‘소나무 화가’라 하기도 한다. 그러나 내가 그리고 싶은 주제에 대해 진지하게 이야기할 기회가 있으면 언제나 ‘길’을 빼놓지 않고 말해왔다. 그것이 상대방에게는 중요한 얘기도 아닐 것이며, 그다지 궁금해 하지도 않아서 뚜렷이, 힘주어 말하지는 않았으므로 기억하는 이도 별로 없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길은 언제나 내게는 중요한 예술창작의 화두였다. 길은 보통 교통수단으로서의 도로를 말하지만 의미가 확장되어 방도를 나타내는 말로 쓰이기도 하고, 행위의 규범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내가 그림으로 그리고 싶은 길은 유년을 보낸 고향마을의 구불구불한 시골길에 대한 기억과 엄마 손잡고 외갓집 가던 길에 대한 추억에서 비롯된 것이 대부분이지만 확장된 의미의 길도 늘 명심하고 있다.

길은 시골길, 꽃길, 지름길처럼 앞에 관형어를 붙여서 의미를 구체화하는데, 교통기관의 발달로 개념이 확장되어 실체가 없는 관념적인 길인 물 위의 ‘뱃길’이나 비행기가 다니는 ‘하늘길’이란 말도 이미 보편화되어 있다.

‘무슨 길이 없을까?’, ‘손쓸 길이 없다.’처럼 어떤 일에 대하여 취해야 할 수단이나 방법의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길은 예로부터 우리의 일상과도 밀접해 ‘길로 가라 하니까 뫼로 간다.’, ‘길이 아니면 가지를 말고 말이 아니면 하지를 말라.’ 등 속담에도 많이 등장하는 친근한 말이기도 하다.

최근 언론에 법무부장관과 검찰총장의 꽃길이 화제가 되어 국민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기도 했다. 검찰총장을 응원하는 화환이 서초구 대검청사 앞길에 가득하더니 이에 맞서 법무부장관을 응원하는 꽃바구니가 장관의 집무실 출근길 복도를 가득 메웠다.

‘절대 지지 않는 꽃길’이라는 리본도 달렸다 한다. 화무십일홍이라 했는데 지지 않는 꽃이 어디 있겠는가. 싸워서 지지 않고 반드시 이긴다는 의미인가. 화환과 꽃바구니는 죄가 없는데, 이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심기는 몹시 불편하다.

시인 장순하는 “어디에나 길은 있고 어디에도 길은 없나니”라고 노래했다. 함께 걸으면 길이 된다. 대화와 소통을 통하여 모두가 함께 잘 살 수 있는 길을 찾을 수는 없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