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형 시인·산자연중학교 교감
이주형 시인·산자연중학교 교감

연습이라는 말이 어느 때보다 가슴 깊이 파고드는 지금이다. 출근길에 우연히 들은 가수 임재현의 ‘사랑에 연습이 있었다면’이라는 노래 제목이 입에서 떠나지 않는다.

한때 필자도 모든 순간이 연습이길 바라던 때가 있었다. 특히 큰 시험 이후에는 그 생각이 더 간절했다. 그리고 한 번 더 기회가 주어진다면 훨씬 잘 할 수 있다는 근거 없는 아쉬움에서 오래 허우적거렸다. 아쉬움은 언제나 후회와 좌절, 그리고 절망으로 이어졌다.

당시를 회상하면 제일 힘들었던 것은 실패를 인정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인정하면 정말 모든 것이 끝날 것만 같았다. 그런 마음의 이면에는 늘 주변 사람에 대한 미안함이 있었다. 그들은 아니었지만, 그들이 하는 말과 응원은 필자에겐 큰 부담이었다. 물론 이 또한 실패에 대한 핑계라는 것을 잘 알지만, 실패의 순간을 모면하기 위해서는 필자에겐 다른 뭔가가 필요했다. 비겁하게도 필자는 그것을 부담감 탓으로 돌렸다.

실패를 거듭할수록 탓하기는 더 심해졌다. 그 방향이 필자였다면 실패의 횟수를 훨씬 많이 줄였을 것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탓 앞에는 늘 남이 있었다. 남 탓하기는 문제를 해결책에서 더 멀어지게 만들었다. 시험 불합격 등 어떤 일이 좌절될 때마다 필자는 다른 곳에서 핑곗거리를 찾기 바빴다. 그리고 실패에 대한 격언 속에서 희망 없는 위안을 얻었다.

필자를 탓하기의 비겁함에서 구한 것은 책, 특히 신화, 동화, 위인전 등이었다. 성인이 되어서 읽는 이 책들은 느낌부터 달랐다. 이들 이야기에는 명확하면서도 유사한 서사구조가 있다. 그 서사구조는 우리 고전소설에 나오는 영웅의 일대기 구조와 매우 흡사하다.

이들 이야기 속 주인공은 늘 시련 속에 산다. 시련 대상은 사람, 사회제도, 운명 등 다양하다. 이들 주인공이 필자와 다른 점은 이들은 자신의 힘으로 시련을 이겨내고 마침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룬다는 것이다. 간혹 시련이 중복되기도 하지만, 승자는 늘 주인공이다. 시련을 겪지 않는 것이 제일 좋지만, 예나 지금이나 시련은 성공을 위한 필수조건이다.

수능을 보는 모든 이에게 수능 신화를 소개한다. 신화 속 주인공은 2021학년도 수능에 응시한 모든 수험생이다. 시련은 성적 지상주의 입시제도와 코로나19이다. 어느 해보다 2020년 수능을 치르는 수험생이 겪는 시련은 혹독하다. 하지만 수험생 모두는 신화 속 주인공이자 현실 속 주인공이기에 그 시련을 이겨낼 힘을 충분히 가졌다. 그리고 그 힘으로 최선을 다해 준비를 마쳤다. 그러기에 시련 따위에 절대 굴복하지 않고 자신이 뜻한 것을 꼭 이룰 것이다.

수험생들이 만들어낸 수능 신화는 우리 사회는 물론 전 세계에 큰 용기와 희망을 줄 것이다. 그 결과 코로나19도 조기 퇴치될 것이 확실하다. 이런 큰일을 하는 것이 수능 신화의 주인공인 수험생이다. 이 시대의 주인공인 수험생에게 꼭 한 가지만 당부한다. 필자처럼 연습 타령과 남 탓을 하면서 궁상맞게 지내지 않기를! 주인공답게 어떤 결과든 겸허히 받아들이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