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의 특별한 식민지 포항’
김진홍 지음·글항아리 펴냄
인문·3만8천원

포항지역의 일제강점기 모습을 기록한 책이 출판돼 관심을 끌고 있다.

김진홍(58·사진) 한국은행 포항본부 부국장이 펴낸 ‘일제의 특별한 식민지 포항-포항지(浦項誌) 주해와 그 주변의 이야기들’(글항아리)에는 구한말 당시 동부 해안가의 한적한 어촌 마을이던 포항동(浦項洞)이 면(面)으로, 또 읍(邑)으로 성장한 과정이 나와 있다.

제1부는 ‘포항지’를 주석과 함께 번역한 주해서로 구성했고, 제2부는 ‘포항지’ 발간 전후의 포항 관련 사료들과 강점기 말에 이루어진 창씨개명, 일본인의 귀환, 포항시의 시승격까지의 자료를 모아 구성했다. 이 책은 저자가 몸담고 있는 포항지역학연구회 연구총서 4호격이다.

이 책의 제1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은 조선총독부 시정 25주년인 1935년에 간행된 ‘포항지(浦項誌)’다. 당시 식민정책의 최전선에서 조선총독부 정책을 대변하는 두 명의 일본인 기자가 쓴 것으로 20세기 초반 포항으로 건너와 깡촌이던 그곳을 일약 동해안의 중심 항구도시로 키워낸 일을 자랑스럽게 기록으로 남겼다.

“조선 시대에 들어 태종왕 때 연일에 진(鎭)을 설치하여 성을 짓고 병마의 구비도 완비했으나, 이것은 그다지 특기할 만한 사실은 아니다”라고 쓰고 있는데 편역자 김진홍은 주석을 달아 “특기할 만한 사실이 아니라고 폄하하고 있으나, 이것이야말로 포항 지역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기록이다. 이곳에 설치한 연일진은 말하자면 해병사단 안에 배치한 육군이다. 진은 군사적 요충지의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조선 시대에 이미 영일만 또는 연일 지역의 지정학적 중요성이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다”라고 지적한다. 3·1운동을 “만세 소란”이라고 반복적으로 지칭한 것에 대해서도 “3·1 만세운동을 ‘만세 소란’이라고 표현한 데서 일본인의 시각을 엿볼 수 있다. 영일군수(난바 데루지), 포항읍장(시모무라 시게히데) 둘 다 일본인이었다”라고 지적했다.

이 책의 제2부 또다른 포항의 발자취는 ‘포항지’ 발간 전후 포항을 다뤘던 사료들을 모아 구성했다. ‘포항지’ 발간을 전후한 자료와 광복 직전의 창씨개명과 징용, 광복 직후 일본인의 철수와 6·25전쟁 직전의 혼란기 포항의 모습까지 담았다.

△일제 강점기 초기에 소개된 포항 △조선총독부 자료에 소개된 포항 △특집기사에 소개된 구룡포 △특집기사에 소개된 포항 △포항읍 발전 좌담회에 소개된 포항의 당시 현안 △1939년부터 광복 이후 포항의 이모저모 등 알찬 내용들이 담겨 있다.

게다가 2부에서는 일본 총독부가 창씨개명과 징용 등을 강제했다는 증거도 찾아내 싣고 있다. 특히 일일이 본문에서 소개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연표 작성으로 보완했다. 이 연표만 보더라도 구한말 이후 포항의 변화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일제가 조선인의 평균 체격을 측정하기 위해 남녀별로 모아놓고 찍은 사진, 1920년대 포항 나카초(仲町) 설경, 포항의 발전상과 변화를 한 눈에 보여주는 지도, 포항 구도심지의 초기 형성을 알 수 있는 지도, 1931년 2월 포항역에서 청어를 출하하는 광경, 1910년대 헌병출장소로 사용된 영일현청 사진 등 희귀한 사진 자료도 많이 담고 있다.

저자 김진홍씨는 대구 출신으로 단국대 경영학과를 졸업했으며, 일본 히토쓰바시대학 대학원에서 ‘남북통일 시 재정 통합 방안’을 연구했다. 한국은행 조사국에서 아시아 지역 국제경제를 담당하다 2009년 포항으로 내려왔으며 현재는 한국은행 포항본부 부국장으로 재직 중이다.

그동안 ‘영일만항의 활성화 방안’ ‘포항 철강클러스터의 구조적 문제점 진단’‘경북 동해안 지역 글로벌 발전 방향’ 등 많은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포항의 근대 도시 발전, 역사, 문화, 산업 등을 연구하는 포항지역학연구회 회원으로 ‘포항지역학연구총서3) 포항 6·25’(공저)를 펴내기도 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