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열 한동대 교수
장규열 한동대 교수

워싱턴으로만 달려가지 않는다. 도쿄에만 집중하지 않는다. 런던만 살 곳이라 여기지 않는다. 파리에만 모두 몰리지도 않는다.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수도권과 지역 중소도시가 함께 어우러지며 나라를 이룬다. 미국을 생각하면 떠오르는 도시들은 거의 워싱턴이 아니다. 일본에 가면서 도쿄만 생각나는가. 런던도 파리도 수도의 역할을 훌륭하게 하면서 크고작은 다른 도시와 지역들을 외면하지 않는다.

우리 서울은 독특하다. 그래서 ‘특별시’일까. 나라 면적의 10퍼센트 남짓한 수도권에 전체 인구의 44퍼센트가 산다. 국가경제활동의 70퍼센트가 수도권에 몰려있다는 게 아닌가. 부동산정책으로 몸살을 앓는다는데, 지방도시의 국민들은 이게 누구 이야기인가 싶다. 출신은 하나같이 지방 어느 곳이었지만 현역 정부 고위인사들은 거의 서울에 집 한 채쯤 가지고 있는 모양이다. 출신만 지역인 셈이 아닌가. 국회의원들의 ‘지역대표성’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쏟아지는 부동산정책은 누가 보아도 ‘수도권부동산정책’이 아닌가.

서울과 수도권, 물론 중요하다. 나라를 대표해야 하고 경제의 중심이어야 한다. 하지만, 나라의 정책이 수도권만 배려하거나 국민의 시선이 서울로만 향하고 있다면 문제가 아닌가. 지역을 대표하는 이들이 수도권만 지향하는 정책입안 태도를 수정해야 하며, 서울로만 향하는 관심은 지역민들도 다시 생각해야 한다. 인위적으로 인구를 분산시키는 일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지역에도 자연스럽게 스스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여건조성에 힘써야 한다.

지역은 무엇을 해야하는 것일까. 지역이 발전하기 위하여 지역 스스로 먼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지역발전을 도모하면서 중앙정부의 도움에만 기대는 접근방식은 적절하지 않다. 중앙의 지원이 주도하는 지역발전은 특색없고 획일화된 결과를 빚어낼 뿐이다. 지역이 스스로 품격을 올리고 지역브랜딩을 강화하며 고유문화를 발굴하여 일으킬 때, 지역민의 자긍심이 높아지고 외부의 관심도 일어나지 않을까.

청년들에게 물으면 지역에 ‘일자리와 문화’가 없다고 한다. 젊은이들이 꿈과 희망을 품고 미래를 열어갈 일거리를 만들어야 한다. 지역에서 공부하고 서울로 떠나버린다면 지방대학의 존재이유는 어디에 있는가. 지역마다 다른 모양을 가졌을 이야기를 찾아야 한다. 일자리와 문화가 지역에서 일어나는 모습을 발견하면 중앙정부를 비롯한 외부의 관심은 저절로 꿈틀거리지 않을까. 밖으로부터의 지원과 투자도 내적으로 만들어낸 동력에 따라 유도될 터이다.

부동산정책뿐일까. 정책수립과 입안이 거의 모두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것은 아닐까. 중앙이 중요한 만큼 지방도 소중하다는 발상의 전환이 없는 한, 불균형적이며 왜곡된 발전 양상을 벗어날 길이 없다. 지역이 가지는 상대적 박탈감을 해소하지 않고는, 균형적인 국가발전을 도모할 방법이 없다. 모두 자신의 자리에서 다양하고 풍성하며 역동적인 삶을 구가할 수 있을 때, 나라다운 나라도 구현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