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원전 건설사인 두산중공업이 45세 이상 직원 2천600명을 상대로 명예퇴직 신청을 받기로 했다. 정부의 ‘탈원전’ 선언 이후 매출이 반 토막 나고 손실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기 때문이다. 이 시점에 탈원전 직격탄을 함께 맞고 있는 경북지역의 피해에 대한 정부의 대책은 무엇인지, 과연 있기나 한 것인지 궁금해진다. 궁극적으로는 탈원전 정책은 폐기되는 게 옳다는 것이 중론인데, 정부의 쇠고집은 참으로 답답한 노릇이다.

두산중공업의 매출은 2012년 7조7천억 원에서 지난해 3조7천억 원으로 줄고, 당기순손실은 2018년 4천217억 원, 지난해 1천43억 원에 달했다. 신한울 3·4호기를 포함한 신규원전 6기 건설의 백지화로 인해 매출 7조~8조 원이 사라졌다.

두산중공업의 대규모 감원이 협력업체 수백 곳의 감원과 줄도산 사태로 이어질 것은 불문가지다.

그런데도 정부는 ‘두산중공업의 경영악화는 탈원전 정책 때문이 아니라 세계 석탄화력 발주 감소 때문’이라는,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의 변명을 늘어놓기에 급급하다. 그렇다면 신규원전 백지화, 월성 1호기 조기폐쇄로 연인원 1천272만 명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경제피해가 9조 원 이상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는 경북지역의 피해는 어찌할 참인가. 기억나는 정부 대책이 없다는 게 더 문제다.

탈원전 폐해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전기차로까지 번지고 있다. 한전 이사회는 지난해 말 3년간 면제해 온 전기차 충전기 기본요금을 올해 7월부터 50%, 2022년 7월부터는 100% 부과하기로 했다. 탈원전 적자를 메우기 위해 2년 뒤에는 4배로 뛴다. 지지세력의 입맛에만 맞춘 어설픈 포퓰리즘 정책 하나가 나라의 미래를 송두리째 좀먹고 있다.

길어야 5년짜리 정부가 펼친 즉흥적인 ‘탈원전’ 정책은 앞으로 100년 이상 미래 먹거리가 될 원전산업을 붕괴시켰다는 역사적 오명을 남길 끔찍한 실정(失政)이다. 그럼에도 도무지 반성도 개선도 하지 않고 있으니 이만저만 큰일이 아니다. 산업 생태계를 위협하면서 지역경제도 말살하는 망국적 ‘탈원전’ 정책은 지금이라도 폐기 처분하는 게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