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30번 조사 중에 또 31번째
해외방문·확진자 접촉도 없어
의료계 등 특이케이스로 분류
대응 단계 더 높여야 지적도

‘느슨했던 감시망이 결국 조금씩 뚫리고 있다’

‘코로나-19(우한 폐렴)’가 보건당국의 감시망을 벗어나고 있다. 지난 16일 양성 판정을 받은 29·30번째 확진환자의 감염원이 아직도 확인되지 않고 있다.

여기다 18일에는 국내 31번째 확진 환자가 추가됐다. 이 여성 역시 현재까지 감염원이 오리무중인 상태다. 보건당국은 ‘새로운 국면’으로 현 상황을 평가하고 있다.

정은경 코로나19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8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해외에서는 최초에는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환자와 환자의 지인들, 밀접접촉자 중에서 환자가 발생하는 양상이었다가 2월 중순부터는 지역사회의 역학적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은 환자들이 보고되고 있다”며 “우한발로 시작된 유행이 2차, 3차 감염자를 통해서 또 다른 유행으로 진행되는 국면”이라고 설명했다.

의료계 등의 말을 종합하면, 국내 확진자들 중에서도 29·30·31번째 환자 사례는 ‘특이케이스’로 분류된다. 확진자가 스스로 바이러스를 만들어내지 않았다면, 바이러스를 옮긴 숙주가 반드시 존재해야만 한다.

중국이나 홍콩, 마카오 등과 같은 오염지역을 방문해 옮았거나, 국내 다른 확진자와의 접촉을 통해 감염되는 식이다. 3명의 환자는 그러나 두 기준에 모두 해당하지 않는다.

전문가들을 포함한 여론은 지역사회의 감염이 진행되고 있다는 판단과 함께 보건당국의 방역 실패 쪽으로 기울고 있다. 원천적 차단이 기본인 감염병 사태에서 전면 입국 금지와 같은 기본적 조치조차 이뤄지지 않으면서 결과적으로 현 사태를 야기했다는 분석이다. 의료계에서 오래전부터 정부에 강력한 대처를 요구해온 만큼, 정부의 미온적인 대처에 따른 현 상황에 아쉬움이 남는다.

이날 최대집 대한의사협회장은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임시회관에서 “29번 확진자와 31번째 확진자가 모두 해외 여행력이 없다는 특징을 미루어 볼 때 지역사회 감염을 막기 위한 1차 방역이 실패했다고 봐야 한다”고 꼬집으면서 “지역사회로 감염이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는 만큼 감염병 대응단계를 ‘심각’으로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지역사회에서 전면적으로 전파되고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지역사회 감염이 확인된 국가 방문자와 의료기관, 일반 국민의 감염예방 수칙 준수를 거듭 당부했다.

정 본부장은 “전국적으로 어디서든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다고 봐야 하느냐고 묻는다면 아직은 그렇게 판단하지 않는다”고 강조하면서 “중국 여행객의 위험이 가장 크고 이들과 접촉한 국내 내국인의 위험이 그다음으로 크다고 본다. 이런 분들이 검사에서 배제되는 일이 없도록 사례정의를 개정하고 있어 늘어난 검사 결과를 보면서 현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바름기자 bareum90@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