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코로나 19’ 대거 입국할 중국인 유학생이 새 변수

등록일 2020-02-13 20:01 게재일 2020-02-14 19면
스크랩버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인 코로나19가 대학 개학을 앞두고 새로운 변수로 등장했다. 오는 24일부터 신학기 개학을 앞둔 대학가는 코로나19 감염과 관련, 중국인 유학생 관리에 초비상이 걸렸다.

국내서는 다소 진정세를 보이는 듯 하는 코로나19가 전국적으로 7만명이 넘는 중국인 유학생의 대거 입국이 예고되면서 감염증 확산의 새로운 고비를 맞고 있는 것이다.

대구와 경북에서도 3천명이 넘는 중국인 유학생이 새학기를 앞두고 입국할 것으로 알려져 지역의 각 대학마다 관리에 비상이라 한다.

경북대와 계명대 등 대구지역 대학들은 이달 입국할 것으로 파악된 2천여 중국인 유학생에 대해 입국하는 대로 기숙사에 격리 수용한다는 계획을 세워두었다. 잠복기 2주 동안 집중 관리 하겠다는 생각이다,

경산지역 10개 대학도 대부분 개강을 1∼2주 연기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또 중국인 유학생은 입국하는 대로 가능한 학교 안 기숙사에 격리 수용해 생활을 시키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중국인 유학생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 전반에 걸쳐 방역 관리를 해야 할 입장이어서 통제가 쉽지 않아 보여 걱정이다. 잠복기인 2주간이 관리의 관건이다. 그러나 시설과 인력 등 관리에 허점이 너무 많아 보여 지역민들조차 걱정을 한다.

우선 격리시설이 부족해 일부 학생은 학교주변 원룸 등에 자가관리를 해야 할 판이다. 또 대학의 관리 인력도 충분치가 않다. 재학생과 지역주민들이 중국인 유학생을 어떻게 대할지도 염려스런 문제다. 세심한 부분까지 관리해야 할 문제가 즐비하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지역대학과 공조해야 하는 것은 필수다. 유관기관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협조해야 방역활동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대구와 경북지역 3천여 명의 중국인 유학생 가운데 단 한 명의 감염자가 나온다 하더라도 지역사회 미칠 파장은 막강하다. 그동안 대구와 경북은 보건당국의 노력과 지역사회의 협조로 아직은 코로나19의 청정지역이라 부를만하다.

개학을 앞둔 대학가의 중국인 유학생이 새로운 돌발 변수가 되지 않게 금 대학과 보건당국이 만반의 준비를 하여야 한다. 전국적으로 각 대학이 같은 고민에 빠져 있다. 정부 당국의 지원도 당연히 뒤따라야 할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