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지사 국회의원 시절부터 구상
가속화하는 지방소멸 대응 차원
경제서 행정까지 시너지 극대화
중앙에도 파장 끼칠 전국적 이슈
두 단체장 대권 구도에도 긍정적
특별법·여론 등 장애물도 적잖아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26일 경북도청에서 열린 연말 도정 성과보고회에서 내년도 도정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대구경북통합의 서막이 올랐다.

이철우 경북지사가 지난 23일 대구 수성호텔에서 열린 아시아포럼21에서 대구경북 통합을 역설한데 이어 26일 송년기자회견에서도 같은 취지의 발언을 이어갔다. 이로 미뤄 양 시도지사는 물론 실무진도 상당히 준비를 하는 등 어느 정도의 뼈대가 나왔다는 관측을 낳고 있다. 광역자치단체의 통합은 아직 없었던 만큼 지역은 물론 중앙 관가에까지 상당한 파장을 몰고올 전망이다.

이 지사는 국회의원 시절부터 대구경북통합을 주장해 왔다. 대구와 경북은 원래 한뿌리이고 사라져가는 지방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서로 경쟁할 것이 아니라 통합해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해야 미래 변화의 시대를 주도할 수 있다는 논리다. 우선 행정통합보다 경제통합을 한 후 법령 등 근거를 마련해 마지막에 행정까지 대통합을 이뤄낸다는 구상이다. 행정통합뿐 아니라 이를 계기로 차기 또는 차차기 대권을 위한 ‘그랜드 디자인’으로도 손색이 없어, 이철우 지사와 권영진 대구시장에게 나쁠 게 없는 시나리오다.

권영진 시장도 재선시장으로 차기 또는 차차기 대권주자로서 입지를 넓히려는 행보를 가시화하고 있다. 이 지사 역시 3선 국회의원에다 현직 도지사로서 통합을 무사히 마무리해, 시너지효과를 배가시킬 경우 단번에 지역 맹주로 대권 주자반열에 뛰어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통합시점을 언급한 데서도 이런 면을 엿볼수 있다. 이 지사는 2021년까지 통합을 마무리해 2022년 지방선거에 통합광역단체장을 뽑는 카드를 내밀어 여론을 떠보고 있다. 시도지사 중 한 명은 통합단체장으로, 한명은 대권주자로 목표를 수정해 서로 싸우지 않고 통합을 이뤄낼 최적기로 보는 셈법이다.

이 지사는 이미 대구경북연구원에 통합로드맵 작성을 의뢰하고 대구시와 더불어 2040년을 목표연도로 하는 ‘2040대구권광역도시계획’수립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바둑으로 치면 포석 구상이 끝났다고 볼 수 있다.

대구는 생활과 교육의 중심지로 만들고 경북은 산업과 생산거점으로 역할을 분담해 수도권과도 맞설 수 있게 한다는 것. 우선 문화·관광분야에서 협력을 대폭 강화하고, 통합신공항과 포항 영일만항으로 하나의 경제공동체를 만들어 최종적으로는 행정통합까지 나아간다는 목표다. 구상해온 ‘대구포’벨트(대구∼구미∼포항) 건설을 통해 경북의 100만규모 도시 두 곳을 대구에 연결시키는 것이다. 포항을 중심으로 경주와 영천을 하나의 자치단체로 묶고, 다른 하나는 구미를 중심으로 김천과 상주를 묶는 방안이다. ‘대구포’ 벨트에 경제자유구역을 지정하는 것이 화룡점정이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각종 조세감면과 자금지원, 규제완화 등으로 기업의 투자여건을 대폭 향상돼 도시발전을 가속화할 수 있다.

통합을 위해 넘어야 할 과제도 너무 많다. 이철우 지사는 통합의 전제조건으로 특별법 제정과 시·도민의 여론 형성을 강조하고 있다. 즉 통합과 관련, 충분히 연구된 자료가 준비돼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도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공론화하는 과정이 남아있는 만큼, 속도를 내되 너무 서두르지 않는 등 절차적의 중요성도 숙고하고 있다.

대구경북대통합을 두고 지역의 정·관가에서는 무수한 뒷말들이 나오고 있다. 과연 가능하겠느냐는 의문상태에서 양 시도의 적극적인 상생 움직임이 구체화되자 시각이 달라지고 있다. 잘 살기 위한 통합방안에 특별히 반대할 명분이 없는만큼 대부분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지역 정계 관계자는 “기초자치단체가 아닌 광역자치단체의 통합은 처음인 만큼 성공적인 통합이 이루어지면 엄청난 변화의 물결이 일 것”이라며 “개인적으로 이철우 지사도 단번에 유력대권주자로 올라서는 등 지역 정관가에 메가톤급의 바람이 불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도의회 관계자는 “대구경북 대통합이라는 큰 틀에는 적극 찬성한다”면서도 “행정통합까지 가기 위해서는 시도민의 합의를 비롯 법률적 뒷받침이 필요한 만큼, 양 시도의회와 언론, 시도민의 의견수렴 등 공론화 과정을 충분히 거쳐야 할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