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여름 무더위 시원하게 날려줄 `연극 축제`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7-07-05 02:01 게재일 2017-07-05 12면
스크랩버튼
▲ 부산시립극단

예년보다 이르게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아직 휴가는 멀었고 가까운 곳에서 땀을 식히고 싶다면 경주를 찾아보자. 여름 무더위를 시원하게 날려줄 연극 축제가 펼쳐진다.

경주시립예술단과 한국국공립극단협의회는 5일부터 29일까지 경주예술의전당 화랑홀과 원화홀에서 `제8회 대한민국 국공립극단 페스티벌 in 경주`를 개최한다. 올해 여덟 번째로 열리는 `국공립극단 페스티벌 in 경주`는 국내 10개 국공립극단이 참여해 페스티벌 기간 중 평일 오후 7시 30분, 주말 오후 4시 각각의 공연을 펼친다. 창작극에서부터 퓨전코믹극, 창작뮤지컬까지 다양한 장르의 `명품공연`이 준비됐다.

`제8회 대한민국 국공립극단 페스티벌 in 경주 `주요 작품을 소개한다.

`제8회 대한민국 국공립극단 페스티벌 in 경주`

오늘부터 29일까지 경주예술의 전당

국내 10개 극단 참여 다양한 장르 준비

개막작 경주시립극단 `자전거` 6·25 아픈 역사 무대에

목포, 세월호 비극 다룬 `바다로 간 소풍`

대구, 권기옥 일대기 창작 뮤지컬 `비 갠 하늘` 공연

△경주시립극단 `자전거`

개막작 경주시립극단의 `자전거`(5일 화랑홀)는 6·25 전쟁의 상처를 다룬다. 이 작품은 한 시골 면서기가 귀가하던 어느 밤길에 42일간 의식을 잃어버린 사건이 발생하면서 그를 추궁하던 동료가 그의 기억을 일깨워서 한국전쟁 기간에 벌어졌던 집단학살 사건, 천대받던 문둥이네 가족들의 이야기 등 아픈 역사가 드러나는 과정을 담았다. 오태석씨는 경상도 고유의 향토성이 살아있는 거창의 사투리와 숙련된 배우들의 연기로써 우리 역사의 저편에 억눌려 있는 한국인의 참모습과 정체성을 보여주려고 한다. 시공간적 배경은 전쟁이 끝난 지 한 세대 정도 지난 때의 어느 시골 마을이지만 주인공의 트라우마는 전쟁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목포시립극단 `바다로 간 소풍`

폐막작 목포시립극단의 `바다로 간 소풍`(29일 화랑홀)은 세월호 참사를 이야기 한다.`제7회 목포 문학상` 희곡 부문 본상 수상작으로, 오월 광주를 다룬 `푸르는 날에`로 차범석 희곡상을 수상한 정경진 예술감독 작품이다. 아직도 돌아오지 못한 미수습자들의 귀환을 바라며 어머니의 상징인 진도댁을 중심으로 해원과 씻김의 의미를 담고 있다. 진도댁이 죽은 아들 영호의 꿈을 꾸고 난 후 세월호가 침몰한다. 물속에 갇힌 가족을 찾아 먼길을 달려온 이들과 취재진들로 팽목항은 인산인해를 이루고, 진도댁의 큰 딸 영자가 자원봉사자로 진도에 내려오면서 지난 상처들이 수면 위로 드러난다.

▲ 포항시립극단
▲ 포항시립극단

△대구시립극단 창작뮤지컬 `비 갠 하늘`

대구시립극단의 창작뮤지컬 `비 갠 하늘`(8일 화랑홀)은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비행사이자 독립운동가인 권기옥의 인생의 궤적을 뮤지컬로 담아낸 작품이다. 지난해 3월 대구시립극단의 제 37회 정기공연으로 첫 선을 보여 큰 호응을 얻었다. 지난해 7월에는 조선족문화예술관 초청을 받아 그곳에서 이틀간 공연해 호평받았다.

이상화의 시 `비 갠 아침`에서 작품 제목의 모티브를 따 온 뮤지컬 `비 갠 하늘`은 권기옥의 신여성적 면모에 집중한다. 전투기 조종사가 되고픈 개인적 소망과 나라를 위해 싸우겠다는 시대정신을 함께 구현하고자 했던 권기옥의 꿈과 의지에 대해 얘기한다.

△포항시립극단 `오장군의 발톱`

포항시립극단의 `오장군의 발톱`(22일 화랑홀)은 한국 최고의 극작가로 손꼽히는 박조열의 대표작이다. 박조열 극작가가 6·25 당시 최전방에서 복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혈육, 고향을 향한 그리움과 평화의 열망을 담았다. 연극계의 새로운 유망주로 떠오르고 있는 신재훈 객원 예술감독이 각색과 연출을 맡았다.

농사밖에 모르던 청년 오장군은 사랑하는 꽃분이와 어머니를 남겨둔 채 징집 당한다. 정신을 못 차리던 오장군은 전방에 배치되고, 전사자의 시체를 찾지 못할 경우에 대비해 손톱을 깎아두라는 명령을 받는다. 순진한 오장군은 발톱도 같이 깎고, 그런 그를 보며 죽음을 예감하듯 동료병사들도 묵묵히 발톱을 깎기 시작하는데….

▲ 경주시립극단
▲ 경주시립극단

△인천시립극단 `열하일기만보`

인천시립극단의 `열하일기만보`(19일 원화홀)는 연암 박지원의 여행기 `열하일기`를 연극으로 창작한 작품이다.

극단은 대산문학상과 동아연극상을 수상한 배삼식 작가의 창작 희곡을 바탕으로, 그들만의 개성을 담아 연극으로 준비했다.

`열하일기만보`는 과거엔 온천이었지만 지금은 사막으로 변한 마을 열하에서 말 한 마리가 갑자기 인간의 말(言)을 하면서 벌어지는 해괴한 소동을 담았다. 연암의 환생인 이 말(馬)은 주민들을 모아놓고 `열하일기`에 기록된 바깥 세상에 대해 얘기한다. 고립된 채 살던 주민들은 혼란과 변화를 겪으며 마을 밖을 궁금해 하기 시작한다.

극단은 누구나 경계선 안에 안주하려고 하면서도 내면에 품고 있는 인간의 호기심과 기이한 것에 대한 욕망을 이야기하고자 했다.

▲ 경기도립극단
▲ 경기도립극단

△경기도립극단 `명랑시장`

경기도립극단의 `명랑시장`(16일 원화홀)은 대부업체에 쫓기는 국밥집 알바생 유정이와 그녀를 둘러싼 명랑시장 사람들의 이야기를 악극 형식으로 흥겹게 풀어낸 작품이다. 이번 공연은 한국여성 연극인 협의회 연출가상을 받은 김정숙 작가와 2003년 `맹진사댁 경사`로 도립극단과 처음 인연을 맺은 김성노 연출가가 호흡을 맞춘다. 김성노 연출가는 동아연극상 작품상(제24회), 백상예술대상 신인연출상(제30회), 서울연극제연출상 등을 수상하며 작품성과 대중성을 인정받고 있다. 연극 `오아시스 세탁소`의 작가로 유명한 김정숙 작가 역시 동아연극상 작가상과 한국여성 연극인협의회 연출가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이번 연극에는 시장을 배경으로 한 따뜻한 이야기에 노래와 춤이 더해진 풍성한 무대가 준비돼 있다.

△부산시립극단 `아비`

부산시립극단의 희곡작가 김광탁 작 블랙코미디 연극 `아비`(25일 원화홀)는 인간의 돈에 대한 욕망을 풍자하며 가족의 의미를 짚어보는 작품이다. 아버지가 한평생 모은 300억원대 유산을 고향의 대학에 기부하는 문제를 두고 자식들과 아버지가 다투는 모습을 코믹하고 세태를 비판하는 휴먼 코믹연극으로 구성했다.

부산시립극단 곽종필 예술감독이 연출을 맡고 이혁우 배우가 주인공 `아비`를 연기한다. 블랙코미디의 맛을 살리는 연출과 쓴웃음을 자아내는 배우들의 탄탄한 연기가 감상의 포인트다.

곽 예술감독은 “많은 관객이 공감하고 웃을 수 있는 작품, 가족사랑을 생각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