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민방위 대피시설 '허점'

임재현기자
등록일 2006-10-11 21:15 게재일 2006-10-10
스크랩버튼
북한의 ‘10.9 핵실험’을 계기로 냉전 체제 붕괴 이후 소홀히 다뤄져 왔던 민방위 대비 현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중앙정부와 각 자치단체의 비상대피시설의 설치 및 운영이 상당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10일 경상북도의 ‘비상대피시설 방호등급별 확보현황’에 따르면 도내 23개 시·군에는 모두 908곳(49만9천182평)의 관련 시설이 있으며 이 가운데 핵공격에 대피할 수 있는 1등급은 19곳(7천576평)에 이른다.

이 같은 수치는 국무조정실 산하 비상기획위원회가 국회 정무위 소속 이계경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지난 9일 공개된 전국 총집계 2만9천886곳과 비교해 다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도내 자치단체 가운데 의성과 칠곡, 울릉은 관련 시설이 단 한곳도 설치돼 있지 않은데다 청송과 성주 1곳, 영덕과 봉화 3곳씩에 불과하다.

의성 · 칠곡 울릉 등 도내 3곳엔 전혀없어

核 공격 대피용 1등급은 구미 1곳만 보유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