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 제철산단 주민, 여전히 중금속 노출···4기 건강영향조사 본격화

김보규 기자
등록일 2025-11-04 17:14 게재일 2025-11-05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4일 포항시 평생학습원에서 제4기 국가산단지역 주민 환경오염 노출 및 건강영향조사’ 주민설명회가 열리고 있다. 

 “3기 조사 결과 포항 제철산단은 산업적 특성상 납·망간·알루미늄 등 대기 중 중금속 농도가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고, 호흡기·신장질환 발생률도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됐습니다”. 국가산단 책임연구원인 유석주 동국대 의과대학 교수는 4일 포항시 평생학습원 뱃머리평생교육관에서 열린 ‘제4기 국가산단지역 주민 환경오염 노출 및 건강영향조사’ 주민설명회에서 3기 조사 결과를 이렇게 요약했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포항의 납(0.03㎍/㎥)과 철(1.02㎍/㎥) 농도는 다른 산업단지 지역보다 높게 나타난 데 대해 유 교수는 “포항의 대기 중 중금속 농도는 2010년대 초반 이후 전반적으로 낮아지다가 최근 다시 상승세여서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4기 조사는 국립환경과학원이 주관하고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경북환경보건센터가 수행 중인데, 조사 범위와 방식을 한층 보완해 2023년부터 매년 150명씩, 4년간 총 6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다.

설명회 발표자로 나선 유 교수는 “주민의 연령과 성별 비율을 실제 인구 구성에 맞춰 표본을 설계해 지역 특성을 보다 정확히 반영하고, 전국 9개 산업단지를 같은 기준으로 조사해 지역 간 비교가 가능하게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에는 전화 모집으로 고령 여성층에 편중됐지만, 이제는 통계기법을 활용해 무작위로 선정된 주민이 참여하도록 바꿨다”며 “포항은 제철산단을 중심으로 거리별 구역을 나눠 인접 지역과 외곽 지역의 오염 노출 차이도 함께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4기 조사는 대상자 선정뿐 아니라 조사 내용도 한층 세분화됐다. 이번 조사는 단순히 피를 뽑는 수준이 아니라 주민 개개인의 생활환경과 건강 이력을 설문으로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혈액·소변 등 생체시료를 분석하는 구조다. 

조사는 국립환경과학원이 포항시에 공문을 발송해 읍·면·동 환경보건 담당자와 지역단체가 협력해 참여자를 모집하고, 문진표 작성·신체 계측·혈액·소변검사 순으로 진행된다. 현장 채취가 어려운 주민은 사전 배부된 용기에 가정에서 채취 후 제출할 수 있으며, 검사 후에는 의료진이 직접 결과를 안내하고 상담을 진행한다. 분석이 완료되면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해 개별적으로 결과가 통보된다. 

유 교수는 “포항의 대기 환경은 과거보다 개선됐지만, 일부 중금속은 여전히 주의가 필요하다”며 “주민 건강 상태를 꾸준히 추적해 산단 주변의 실질적인 환경 개선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김보규기자 kbogyu84@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