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우리는 한글을 얼마나 잘 사용하고 있을까

등록일 2025-11-04 16:43 게재일 2025-11-05 12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동네 골목에 영어 간판보다 아름다운 한글로 된 간판을 더 많이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사진은 특정 기사와 상관 없음. 

지금은 'k'의 전성시대다. 'k-팝'을 선두로 'k-푸드','k-화장품', 'k-드라마' 등. 한국과 한국문화의 전반에 걸쳐 전 세계인의 관심이 뜨겁다. 지난 여름은 넷플릭스에서 방영된 '케데헌'(KPop Demon Hunters) 의 주제곡인 '골든'의 가사를 외국인들이 그대로 흥얼거리는 모습은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유난하다는 걸 실감하게 했다. 외국인들이 유창한 우리말로 방송을 하고 한국의 역사까지 이야기하는 모습이 막힘이 없다. 한글이 적힌 티셔츠를 입고 한글로 붓글씨를 쓴다. 한국인 엄마를 자랑스럽게 여겨 사람들 앞에서 한국어로 전화 통화를 하는 외국인도 있다. 거기다 한글로 쓰인 소설이 노벨문학상까지 받았으니, 한국의 제대로 된 맛을 느끼려면 한글과 한국어를 아는 것이 곧 한국을 아는 것이 된 것이다. 그렇다면 'k 문화'의 중심이 된 한글을 우리는 얼마나 잘 사용하고 있을까.

우리의 일상생활을 돌아보면 한글을 잘 사용하기 위해선 먼저 문해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지금은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의 문해력도 심각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정통신문의 '중식'이나 '금일', '심심한 사과' 등 기본적인 어휘를 다르게 이해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이 익숙하다 보니 활자로 된 문화를 접할 기회가 줄어드니 단어의 뜻과 문맥을 파악하기에 어려워서다. 또 디지털 용어나 외래어에 익숙해진 이유도 있다.

우리가 쓰는 말도 아직은 생각보다 영어와 더 친숙해 보인다. 길거리의 간판만 봐도 영어가 수두룩하다. 동네 골목에 있는 간판들을 살펴보니 한 영어 간판은 건물을 들여다보아도 가려져 있어 무엇을 하는 가게인지 단번에 알 수가 없다. 간판의 작은 글씨도 영어로 되어있다. 자세히 보니 그제야 'hair'라는 글자가 보여 미용실인지 알았다. 영어와 한글이 섞인 것도 흔히 보는 간판의 모습이다. 프랜차이즈 빵집이나 카페, 옷 가게는 물론이고 종종 가는 동네 24시 무인 카페와 편의점도 영어로 되어있다. 공공기관에서의 영어와 한글을 섞어 쓰는 건 당연시되기도 한다. 우리 국민을 위한 정책이나 사업에서도 영어를 쓰고 브리핑이나 캠페인, 네트워크, 오픈 채팅의 용어들이 공문서나 홍보물에 습관처럼 사용되고 있다. 공공의 목적을 가진 행정업무에 관성처럼 영어로 가득 차면 시민들과의 소통에도 어려움이 생기고 한글의 아름다움도 희미해진다.

한 가게 앞에서 기다리는 줄이 길면 웨이팅이라는 말이 자연스레 나오고 색깔을 이야기할 때도 마찬가지다. 블루니 핑크니, 하는 말은 익숙하게 입에서 나온다. 싱크홀, 언택트, 혈당 스파이크, 뱅크런 등도 마찬가지다. 이런 낯선 외래어들은 한 번에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 처음 한국에 온 한 외국인은 한글이 적힌 티셔츠를 입고 한글에 'O'이라는 글자가 예뻐 보여서 폰으로 그것만 찍었다고 한다. 한국 사람이 한국어를 말하는 게 더 좋아 보이고 한글은 모든 언어의 발음을 다 표현할 수 있는 글자라고 덧붙인다.

한글은 해마다 세계에서 문맹 퇴치에 공이 큰 사람에게 '세종대왕 문맹퇴치상'을 주고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다. 한글은 과학적이고 창제 원리가 밝혀진 몇 안되는 글자다.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은 한글은 그 자체가 브랜드가 될 수 있는데 왜 굳이 아름다움을 가리려고 하는지 우리가 한글을 잘 알고 써야 할 것이다.

/허명화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