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학번 새내기 수업 거부 가능성
올해도 의과대학학생들은 작년에 이어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한 휴학을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6일 교육계와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공지문을 통해 “작년 11월 15일 확대전체학생대표자총회의 의결을 받들어 의대협의 2025학년도 투쟁을 휴학계 제출로 진행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해 11월 15일 의대협은 전국 40개 의대 학생회 대표와 학년별 대표자가 참여한 총회를 개최해 ‘정부가 초래한 시국 문제를 바로잡기 위한 협회의 대정부 요구안 관철을 향한 투쟁을 2025학년도에 진행한다’는 안건을 의결했다.
지난 6주간 2025학년도 투쟁 방안에 대한 논의를 거쳐 의대협은 4일에 열린 임시총회에서 올해 휴학계를 제출할 것이라고 결정했다.
지난해 2월부터 의대생들은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휴학계를 제출한 이후 대부분이 복귀하지 않았다.
학칙상 3학기 연속으로 휴학할 수 없다며 교육부는 올해 1학기에는 복학해야한다고 말했지만 의료 단체에서는 상당수 대학에서 3학기 이상 휴학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이에 3학기 연속 휴학이 불가능한 학교와 1학년 1학기는 휴학이 허용되지 않는 학교의 25학번 일부는 수업 불참 등의 방식으로 휴학에 준하는 행동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의대협은 “휴학계 제출이 불가능한 단위나 학년은 이에 준하는 행동으로 참여한다”며 “학교별 투쟁 방식과 가이드라인, 타임라인은 차후 학교 TF팀의 안내를 참고바란다”고 설명했다.
이에 교육부는 동맹 휴학은 불가하다는 의견을 비추며 기조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다만 교육부는 2025학년도에서 의대생이 휴학할 경우에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지는 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전했다. /김채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