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립대구박물관 개관 30주년 특별전 ‘한국의 신발, 발과 신’개최

윤희정기자
등록일 2024-05-22 07:46 게재일 2024-05-23 16면
스크랩버튼
고대부터 현대까지 신발의 역사와 문화 다룬 최초의 전시
고창 봉덕리 금동신발. /국립대구박물관 제공
고창 봉덕리 금동신발. /국립대구박물관 제공

신발은 발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에서 점차 사회와 문화를 담고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이었다.

국립대구박물관(관장 김규동)이 지난 14일부터 오는 9월 22일까지 기획전시실 Ⅰ·Ⅱ에서 개관 30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의 신발, 발과 신’을 열고 있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우리나라 신발의 역사와 문화를 다룬 전시는 이번이 처음이다. 짚신에서부터 금동신발, 그리고 신발이 있는 풍속화와 초상화에 이르기까지 신발 관련 자료를 한자리에 모은 전시에는 316건 531점을 선보인다.

경주 식리총 금동신발. /국립대구박물관
경주 식리총 금동신발. /국립대구박물관

전시는 모두 7부로 구성했다. 전시의 시작인 제1부 ‘발의 진화, 신발의 탄생’에서는 두 발로 선 인류의 진화 모습을 영상 및 이미지와 함께 구성해 시작부터 몰입할 수 있게 꾸몄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신발과 신발의 재료, 신발 제작과 관련된 공간을 연출했다.

제2부 ‘짚과 풀을 엮어 만든 신발’에서는 삼한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흔하게 신었던 짚신과 미투리를 살펴본다. 짚으로 만든 짚신과 마로 만든 미투리, 상주가 신었던 엄짚신이나 어린이 미투리, 애절한 사랑 이야기를 담은 미투리 등 다양한 짚신과 미투리를 전시했다. 머리카락으로 엮어 만든 안동 원이엄마 미투리는 신발이 애절한 마음과 소망을 담은 물건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발목 낮은 가죽신 혜(鞋). 국립고궁박물관, 단국대박물관 등 소장. /국립대구박물관 제공
발목 낮은 가죽신 혜(鞋). 국립고궁박물관, 단국대박물관 등 소장. /국립대구박물관 제공

제3부 ‘신분마다 달랐던 신발’에서는 권력을 나타내기도 했던 신발 모습을 조망했다. 의례용 신발인 석(舃)은 왕의 구장복, 왕비의 적의와 함께 전시했고, 신하의 신발인 발목 높은 가죽신 화(靴)는 남구만 초상(보물), 이하응 초상(보물)과 함께 구성해 관람객들의 이해를 도왔다. 화(靴)가 포함된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품(보물)은 보존 처리 이후 처음 일반에게 공개된다.

제4부 ‘기후와 신발’에서는 기후를 극복했던 신발을 소개한다. 비오는 날 신었던 삼국시대 나막신부터 조선 시대 나막신, 기름 먹인 가죽신인 징신, 눈오는 날 신는 설피와 둥구니신까지 함께 전시한다.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국립대구박물관 제공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국립대구박물관 제공

제5부 ‘패션의 완성, 신발’에서는 신발을 신고 패션을 완성하는 데 숨은 공신인 ‘버선’과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신발은 신었던 날인 혼롓날의 복식을 전시한다. 궁중 여인들의 화려한 활옷과 꽃신은 혼롓날 평민에게도 허용되었는데 이러한 관습을 섭성(攝盛)이라 했다. 가장 아름다운 순간을 완성하는 신발은 복식 문화의 화룡점정(畵龍點睛)이라 할 수 있다.

제6부 ‘죽은 이를 위한 신발’에서는 무덤에 넣은 부장품으로서의 신발의 의미와 죽은 이에 대한 추모, 내세관에 대해 살펴본다. 조선 시대 장례용 신발인 습신과 삼국시대 금동신발, 고구려 무덤 벽화에 나온 신발을 소개한다. 특히 중국 지린성 지안시에서 출토됐다고 전하는 고구려 금동신발과 백제 무령왕비, 경주 식리총, 고창 봉덕리, 나주 정촌의 금동신발 등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금동신발을 선보인다. 금속 공예 기술의 정수와 함께 내세관을 엿볼 수 있다.

제7부 ‘신발, 조선에서 현대까지’에서는 우리에게 신발이 어떤 의미인지 살펴보는 자리다. 대구박물관에서 소장 중인 이영희 기증품, 황해봉 장인(국가무형유산 화혜장), 안해표 장인(부산광역시 무형유산 화혜장)의 작품 등을 벽면 가득 전시해 전통 신발 중 혜(鞋)의 아름다움을 극대화시켜 연출한다. 또 20세기 초 새로운 소재와 함께 반세기 가까이 유행했던 추억의 고무신과 관련한 이야기도 전시한다.

이와 더불어 성철스님 고무신, 엄홍길 등산화, 서장훈 농구화 등 다양한 직업의 사람들이 신었던 신발을 조명하면서 직업과 기능에 따라 다른 오늘날의 신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공간도 마련한다. 입장료는 무료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