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호우에 따른 철길 유실로 열차 운행이 중단됐던 영동선 전 구간이 1월 8일부터 운행을 재개했다. 낙동강 최상류 계곡이며 오로지 기차가 유일한 교통수단이었던 협곡 구간을 천천히 쉬어가며 달리는 백두대간 협곡열차도 하얀 겨울을 달리기 시작했다.
백두대간 협곡열차는 영동선 봉화 분천역에서 철암역까지 27.7㎞를 운행하는 관광열차로 V-Train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V는 협곡(valley)의 약자이며, V자 협곡 모양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 다른 이름은 ‘아기 백호’라는 애칭.
분천역에서 승부역 구간은 시속 30㎞로 천천히 운행하면서 강줄기 따라 이어진 비경을 감상할 수 있도록 개방형으로 돼있다. 특히 겨울에는 온통 하얗게 뒤덮인 협곡 설원을 누비며 그야말로 환상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
분천역(산타마을)에서 출발해 양원역(영화 ‘기적’ 실제 배경), 승부역, 철암역까지 역마다 쉬어가며 자연을 오감으로 느낄 수 있도록 운행한다.
분천역에서는 산타마을 축제가 2월 12일까지 이어진다. 아이들에게는 소중한 꿈을 심어주고, 어른들은 동심으로 돌아갈 수 있는 추억 속의 역이다. 주민들 손으로 직접 지은 우리나라 최초 민자역사인 초미니 3평짜리 양원역은 기차가 아니면 갈 수 없는 오지다. 협곡 속에 자리 잡은 양원역은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봉화군 원곡마을과 울진군 원곡마을이 양쪽에 있다고 하여 양원역이라는 이름이 탄생하게 됐다.
승부역은 “하늘도 3평이요, 꽃밭도 3평이나, 영동의 심장이요, 수송의 동맥이다”라는 글귀로 잘 알려진 오지 역으로 순백의 설경을 연출한다. 겨울의 삭막함에 부드러움이 있어 포근함을 주고 순백의 비경을 펼쳐내는 풍광과 계곡을 끼고 이어진 철로와 다소곳이 자리 잡은 승부역은 길손의 넋을 빼앗는다.
기암괴석이 병풍처럼 드리워진 협곡에 눈이 내리고 깎아지른 듯한 암봉과 협곡 사이를 달리는 환상의 눈꽃열차로 유명한 겨울 여행지 봉화. 오묘한 조화를 이룬 풍경으로 들어가는 열차는 분천역에서 승부역까지 눈여겨볼 12선경이 펼쳐진다.
제 1선경은 승부역의 용관 바위를 시작으로 제2선경 은병대, 제3선경 관람담, 제4선경 구암, 제5선경 연인봉과 선약고, 제7선경 양원, 제8선경, 암징대, 제9선경 비동, 제10선경 월원, 제11선경 와유곡, 제12선경 융화동천은 아름다운 비경을 품은 자연의 절정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하얀 겨울 추억을 담을 수 있는 백두대간 협곡열차는 하루 2회 왕복 운행되고 있으며, 월요일과 화요일은 운행하지 않는다. 기차는 아름다운 자연을 두 눈에 가득 담을 수 있도록 통유리로 돼있고, 복고풍의 소품으로 실내를 장식한 3량의 객차로 이루어져 있다.
복잡한 마음을 굽이굽이 협곡의 대자연 속에 묻어버리고, 두메산골 속에 섬처럼 고이 숨겨진 사람과 풍경을 찾아 봉화로 겨울 기차여행을 떠나보면 어떨까? /류중천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