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울릉(사동) 항 동방파제와 연계해 바다를 메워 건설 중인 울릉공항건설이 2월 말 현재 27.18%의 공정률을 보이면서 순항하고 있다.
울릉공항건설은 바다를 메워 활주로를 건설하기 때문에 부지를 조성하기 위해 가장 먼저 바다를 막는 호안(護岸.revetment)을 만들어 부지조성 사석 및 토사 유실을 막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호안축조는 사석 경사제로 하지만 울릉도는 수심이 워낙 깊어(최고 수심 28m) 사석으로 감당하기 어려워 높이 약 30m 무게 1만t급의 케이슨을 거치해 호안을 축조한다.
울릉공항의 활주로는 울릉읍 사동리 가두봉 해안에서 울릉항 외곽 동방파제를 따라 사석경사제(길이447m), 케이슨 30함(987m)으로 호안을 건설하고 호안과 울릉 항 사이를 메워 활주로를 만든다.
현재 울릉공항건설 현장 공정은 사석경사제로 가두봉 해안에서 300여m의 호안을 축조했고 케이슨 6함을(1함 가로, 세로 32.15m, 32m, 높이 24m, 약 1만 5천t)설치했다. 앞으로 케이슨 24 함이 포항영일신항만에서 제작 운반해야 한다.
DL이엔지 컨소시엄 관계자는 "울릉공항건설 부지조성을 위해 호안을 축조할 케이슨은 총 30함으로 현재 11.9함의 제작을 마쳐 39.7%의 공정을 보이고 올 연말까지 24함 제작을 완료할 계획이다." 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기상이 좋아지면 포항신항만에 제작돼 있는 7번째 함을 시작으로 올해 18함을 울릉도로 옮길 계획이며 기상이 좋으면 순조롭게 진행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또한, 바다를 메울 가두봉 절취가 한창 진행 중이다. 가두봉 절취는 총 912만m3 규모로 이 중 19만m3 (2.1%)절취 했고 올해 127만m3를 절취한다는 계획이다.
공항 및 활주로 부지매립은 총 835만 m3 중 2만m3 를 이미 메웠고 올해 85만m3 매립한다. 포항신항만에 제작된 케이슨의 울릉도 현장까지 이동이 가장 힘든 공정이다.
1만 t급 거대한 시멘트구조물인 케이슨을 바다 바다에 띄워 4척의 바지선을 이용해 동해바다를 건너와야 한다. 울릉도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52시간 걸린다.
특히 육상에서 제작된 케이슨은 해상에 대기 중인 FD선에 옮겨 실은 후 바다로 나가 울릉도로 예인할 장소까지 이동, FD선에 물을 채워 싣고 있던 케이슨이 뜰 때까지 가라앉힌 후 예인선이 끌어 울릉도까지 이동한다.
만약 동해바다를 건너오다가 파도가 높으면 물에 잠겨 가라앉기 때문에 기상이 3일이상 좋아야 운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거의 운반이 불가능하다.
케이슨 거치가 완료되면 가두봉을 절취해 바다를 메워 부지를 조상하기 때문에 작업진도가 빨라진다. DL이엔지 컨소시엄은 활주로·공항터미널·주차장의 부지조성 등 대부분이 토목공사다.
따라서 바다를 메우는 공사가 대부분이며 DL이엔지 컨소시엄은 지금까지 부지조성을 위한 기반 시설에 전력을 기울여왔다. 공항터미널 등 청사 및 부대시설은 한국공항공사가 담당하기 때문이다.
DL이엔지 관계자는 “울릉공항은 바다를 메워 건설하기 때문에 호안 축조가 관건이며 호안 축조는 케이슨이 가장 중요하지만, 포항에서 제작 울릉도현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시간이 다소 걸리고 있다.”라고 말했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