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남구 오천읍 문덕리에 사는 신모(39·여) 씨는 “본인 얼굴 사진까지 붙여서 계속 오는데 제 전화번호는 어떻게 알고 하는 건지, 여론조사 전화도 자주 오고 평일 주말 가리지 않고 온다. 며칠 전에는 초등학생인 저희 딸에게도 왔다. 차단해도 또 다른 번호로 오고 정말 징글징글하다. 이런 후보는 안 찍을 것”이라며 성토했다.
양덕에 사는 조모(34·여) 씨는 “선거철만 되면 반짝 나타나서, 다들 남의 개인정보를 어디서 일고 그러는지 진짜 짜증 난다. 배달업체, 기프트콘, 은행이며 이래저래 내가 흘린 정보들을 한탄하며 바로 차단하고 있다. 어제는 아기 재우고 있는데 전화가 와서 너무 불쾌했다. 이번이 특히 더 심한 것 같다”고 말했다.
포항에 사는 대학생 김모(22·남) 씨는 “딱 두 번 가본 제주도에서도 자꾸 온다. 한 후보에게는 받은 지 오래되었고 며칠 전부터는 다른 후보에게서도 문자가 온다. 번호가 대체 어느 경로로 넘어간 건지. 처음엔 보이스피싱일 지도 모르고 귀찮아서 그냥 뒀는데 문자 발송 빈도도 늘어나고 계속 오던 사람 말고 다른 사람에게도 오는 걸 보니 심하다. 문자 때문에 책을 봐도 집중이 안 된다. 선거 때마다 문자 보내기 그만했으면 좋겠다”고 불평을 털어놓았다.
시민들이 선거 홍보 문자와 전화에 불편과 불만의 호소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전화번호 유출은 대부분 동호회나 동창회 등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선거 사무소에서 전화번호 수집 출처를 제대로 못 밝힌다면 수집 과정도 불법일 가능성이 크다.
쏟아지는 전화와 문자를 수신 거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중앙 선거관리 위원회 누리집에 들어가서 하단의 ‘선거 운동 기구 설치 내역’을 클릭한다. 전화나 메시지를 보낸 후 선거 사무실과 통화를 하고 개인정보 취득 방법과 출처를 문의(녹음)한다. 취득 경위에 대한 답변이 없을 시에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02 2100 3043)로 고발하면 된다.
/허명화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