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 귀국 독주회 여는 플루티스트 이효연
“유학하며 연구했던 음악의 테크닉을 귀국한 후 처음 선보이는 자리로 정통 클래식의 레퍼토리가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곡들이지만 저만의 철학을 볼 수 있는 해석으로 청중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고자 합니다.”
포항 출신 플루티스트 이효연이 오는 16일 서울 금호아트홀 연세에서 갖는 귀국 독주회를 앞두고 밝힌 소감이다.
이번 리사이틀에서는 음악은 모두 함께 즐겨야 한다는 그의 평소 소신을 담은 다양한 장르의 곡을 선보인다. 8일 가진 인터뷰에서 그는 긴장되고 떨리지만, 첫 독주회를 위해 준비를 많이 했다며 자신감을 비쳤다.
다음은 그와의 인터뷰 내용.
-이번 독주회를 소개한다면?
△독일에서 공부하며 익힌 레퍼토리와 음악인으로 활동하며 얻은 경험을 보여주고자 한다. 대표적인 독일 작곡가인 고전주의 시대의 주도적 작곡가 바흐의 곡과 신고전주의 작곡가인 힌데미트를 준비했다. 플루트는 낭만주의 시대 때 프랑스 작곡가들이 활발하게 발전시킨 악기다. 비도르의 곡과 2021년이 서거 100주년이었던 생상스의 곡도 선택했다.
-이번 독주회를 통해 전하고 싶은 것은?
△시대별로 다른 음악적 표현과 그 당시의 배경을 좀 더 표현하여 작곡가의 의도를 관중들에게 전달하고 싶다. 힌데미트 ‘소나타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나 루셀의 ‘플루트 연주자’ 등 어찌 보면 무겁고 철학적인 주제를 내세웠다고 할 수 있지만, 그에 부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금의 나를 가감 없이 보여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가장 추천하고 싶은 곡은?
△바흐 ‘소나타 BWV 1033’ 작품이다. 이 곡은 바흐의 3기에 해당하는 쾨텐 시기(1717∼1723년)에 쓰인 곡으로, 바로크 시대의 음악적 특징이 모티브의 확대, 전위, 모방, 대위법적 기법 등이 특징으로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바흐의 음악 기법이 잘 드러나 있는 곡이다.
-플루트를 전공하게 된 계기는?
△초등학교 때 취미로 시작했는데 계속 배우다 보니 흥미도 많이 생겼고 저랑 잘 맞는다고 생각해서 결정하게 되었고 저의 의견을 부모님께서도 반대하지 않으시고 지지해주셔서 전공의 길을 가게 됐다.
-플루트의 가장 큰 매력은?
△많은 매력이 있지만, 음색이 경쾌하면서도 우아하고, 부드러우면서도 화려하다는 점과 단선율 악기인데도 불구하고 화려한 음악을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인 것 같다.
-이효연 씨의 음악적 색깔은?
△화려하지만 따뜻한 소리로 진정성 있는 음악표현과 테크닉으로 작곡가의 의도와 감정을 최대한으로 잘 전달해 많은 사람에게 감동을 전하고자 한다.
-좋아하는 연주곡은?
△낭만주의 시대의 곡 연주를 좋아한다. 판타지나 오페라에서 나온 곡이 많은데 스토리도 알고 음악적으로 표현할 것도 좀 더 많아서 좋아한다. 그중에 라이네케의 ‘발라드’를 특히 좋아한다.
-향후 계획 중인 활동은?
△일단 16일 귀국 독주회를 시작으로 음악적 역량을 한껏 펼치며 연구하고 노력하는 플루티스트의 모습을 보여드리고자 한다. 서울과 포항에서 연주 활동을 병행하며 후학에 열성을 다하는 교육자, 연주자로서 다양한 활동으로 관객들을 만날 계획이다.
-앞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음악 세계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 진실한 모습을 연주를 통해 사람들에게 클래식 음악의 아름다움을 전하고 싶다. 많은 분이 클래식을 어려워하지 않고 쉽게 접하며 연주회장을 가볍게 찾아가며 즐길 수 있었으면 좋겠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플루티스트 이효연은
△1992년 포항 출생 △포항예술고, 국민대 예술대 음악학부 및 동 대학원 졸업, 독일 뮌스터 국립음악대학원 졸업 △포항음악협회 콩쿠르 전체대상, 음악저널 콩쿠르, 대구음악협회 콩쿠르 등 다수의 콩쿠르에서 입상 △조선일보 신인음악회, 음악교육신문 초청 차세대 아티스트 콘서트 등 출연 △포항시립교향악단, 루마니아 올테니아필하모닉오케스트라, 러시아 타타르스틴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등 협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