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비리투성이 연호지구 사업 중단하라”

김영태기자
등록일 2021-03-25 20:10 게재일 2021-03-26 1면
스크랩버튼
대구·경북 LH발 투기 의혹 증폭<br/>대책위 “지구 내 70~80% 외지인<br/>상가 갑자기 들어서고 야간작업<br/>분양권 노리고 진입했을 가능성”<br/>경산 대임지구도 입소문 확산돼

LH 직원발 투기 의혹이 대구·경북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대구 연호지구와 경북 경산 대임지구에 대한 의혹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연호지구의 경우에는 조성사업을 전면취소하라는 의견까지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25일 대구 수성구 연호이천서편대책위는 수성구 범어동 수성구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LH 연호공공주택지구 조성에 협조해 준 수성구청은 책임져라”며 “비리투성이 연호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을 전면 취소하라”고 밝혔다.


연호지구 투기 의혹은 갑자기 상가가 들어서는 것은 물론이고 지분 쪼개기에다 일부 건립 빌라는 야간작업을 하는 등 완공 후 분양권을 노린 측면이 강하다는 지적이다. 또 현재 빌라를 착공하는 곳에서는 과거와 같은 야간작업이 전혀 이뤄지지 않아 이같은 의혹을 사실상 뒷받침한다는 평가다.


심지어 연호지구 주민들은 지구내 10명 중 7∼8명은 외지인이며 이들은 주택지구 조성사업을 미리 알고 분양권을 획득하기 위해 노리고 진입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는 연호지구 지정을 앞둔 지난 2016년 하반기부터 보상과 이주자 택지 분양권을 노린 빌라 신축과 매매가 집중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더욱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016년 12월 수성구청으로부터 사용 승인을 받은 대구 연호지구의 한 빌라 매수자들은 빌라가 신축 중인 특정 시점에 집중적으로 사들였다. 비슷한 시기에 완공된 인근의 다른 빌라는 착공하기도 전에 전체 10가구 중 8가구를 외지인들이 취득하는 현상이 벌어졌을 정도다.


심지어 지난 2016년 하반기에만 3동의 빌라가 들어섰고 유사한 방식으로 매매 거래가 이뤄졌으며 빌라 2개동은 설계와 감리, 시공자까지 같은 인물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 경산 대임지구의 투기 의혹은 당시 부동산 사무실을 하면서 비대위에서 상당히 높은 자리에 있던 인사가 협의자 택지 등을 받기 위해 여러 명이 어울려 공유지분으로 매수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의혹이 더욱 확산되는 상태다. 한 인사는 고소득자도 아니면서 대임지구에 공유지분을 통해 상가를 2개 정도 보유하고 있으며 본인의 친인척이 LH의 사외감사나 사내 감사를 맡고 있다고 직접 언급하고 다녔을 정도였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이런 상황에서 경산시는 공무원 2명의 투기 의혹이 있다는 지적에 따라 200여명의 공직자 전수조사를 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이미 수도권 신도시 투기 수사에서 드러났듯이 땅 투기시에는 본인 명의보다는 배우자나 직계가족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실효를 거두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대구 연호지구와 경산 대임지구 등지에 대한 투기 조사는 공무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직계가족 등을 포괄하는 전수조사로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