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상의, 지역 41개사 현황조사 ‘판매 부진’에 따른 자금 악화 탓
주요 원인은 ‘판매 부진’에 따른 자금 사정 악화를 꼽았다.
7일 대구상공회의소가 지역 중견기업 41개사를 대상으로 ‘대구지역 중견기업 현황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24.4%가 정책적 수혜를 위해 ‘중소기업으로 회귀를 검토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를 고려해도 지난 2월 산업부가 발표한 ‘2019년 중견기업 실태조사’상의 전국 평균 5.1%보다 높은 수치다.
조사기업 중 일부는 중소기업 때 받던 각종 지원이 축소되거나 배제되기 때문에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꺼리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일자리·인력지원’(44.5%), ‘세제 혜택’(33.3%), ‘정책금융 지원’(22.2%) 등 중소기업에 주어지는 혜택을 선회를 검토한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중견기업들은 대기업에 가까운 규제를 적용받았고, 중소기업 위주의 지원 사업과 제도로 혜택을 받기 어려웠다.
금융지원 이용 시에도 높은 신용도 요구 등 불이익을 경험했다는 답변이 나오는 가운데 응답 기업들의 자금 사정은 악화하고, 채용 규모도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65.9%가 지난해 상반기보다 올해 자금 사정이 악화했다고 응답하고, 자금 사정이 악화한 주요 원인으로 10곳 중 9곳이 ‘판매부진’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자금사정 악화에도 활용할 수 있는 정책자금이 마땅치 않았던 중견기업들의 올해 코로나19 관련 정책자금 신청률은 저조했다.
지역의 한 자동차부품업체 관계자는 “중견기업은 정책자금 신청이 불가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업종 자체가 현재 금융권에 리스크 업종으로 분류되어 신규차입이 어렵고, 오히려 일부 상환 및 금리 인상 등을 요구받고 있다”며 “해외법인 역시 코로나19로 유동성 위기가 심각하나 정부 금융지원 대상에 미포함 되어 애로가 많다”고 토로했다.
이재경 대구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은 “지역 중견기업은 관련된 거래처가 400여곳 넘을 정도로 관계된 회사도 많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연결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지역 주력산업 부진과 코로나19의 충격으로 어려운 상태”라며 “중견기업을 정부 지원 사업에 적극 포함하고 지원 폭을 늘리는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심상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