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낙동면 분황리 일대 설치 추진에 인근 주민들 거센 반발 “동의 없었는데… 재공모로 대상부지 선정하라” 사업 철회 촉구
상주시에 따르면 오는 2021년까지 132억원(국비 70%, 도·시비 10%, 자부담 20%)의 사업비를 들여 낙동면 분황리 낙동강 본류 바로 옆에 1일 처리용량 120t(퇴비화 100, 액비화 20) 규모의 축분(우분) 퇴비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다. 상주축협과 수탁계약을 해 추진하는 이 사업은 3만㎡의 부지에 퇴비화시설을 비롯한 액비탱크, 기계실, 관리동 등이 들어선다. 상주축협은 현재 예정부지 내 사유지에 대해서는 가계약을 체결한 상태이며, 6천600여㎡의 시유지는 불하 또는 임대할 계획이다.
이 같은 내용이 알려지자 낙동면 주민들은 행정절차 상의 하자와 악취발생, 가축 방역상의 문제점, 지역 이미지 손상, 인근 관광 및 위락시설 위축 등의 사유를 들어 결사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퇴비공장 예정부지 주변과 국도변, 시가지 등지에는 ‘지역주민 동의 없는 퇴비공장 결사반대’, ‘분황리 퇴비공장 건립 철회하라’ 등의 내용을 담은 현수막이 대량으로 내걸렸다.
26일에는 낙동면 이장협의회를 비롯한 지역발전협의회, 노인회 등 지역주민 50여명이 조성희 상주시장 권한대행을 직접 면담하고 사업 철회를 강력히 요청했다. 이들은 주민동의 등 가장 중요한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며 상주시와 상주축협이 재공모를 통해 대상 부지를 선정할 것을 요구했다. 또 이 시설이 건립되면 악취에 시달리고, 지역발전에도 큰 지장을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사업 예정부지 바로 옆에는 이미 돼지 분뇨만 전용으로 처리하는 축산환경사업소(공공처리시설)와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이 때문에 낙동면과 인근 중동면 주민들이 악취로 인한 민원을 수차례 제기했었다. 여기에다 이번에 또다시 축분 처리시설이 들어서면 악취 등으로 인한 환경민원은 더욱 확산할 전망이다.
전국에서 한우를 가장 많이 사육하는 지역이 상주이고 이 가운데 낙동면은 320여 농가가 1만1천500여두의 한우를 사육하고 있어, 가축분뇨가 집산될 경우 방역상의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상주시장 권한대행과의 면담에서 한 주민은 “낙동면은 공군 폭격장과 4개의 고속도로, 4차선 산업국도 통과 등으로 심한 소음 및 쓰레기 공해에 시달리고 있다”며 “여기에다 퇴비공장까지 줄줄이 들어오면 더 이상 사람 살 곳이 못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조성희 상주시장 권한대행과 김용준 상주축협장은 “당장 후보지를 재공모 하겠다는 답변은 드리지 못하겠다”며 “관련기관과 협의한 후 충분히 검토해 보겠다”고 설명했다. 상주/곽인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