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어의 노래` 황선미·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가 그림 비룡소 펴냄, 220쪽
책은 `마당을 나온 암탉`으로 유명한 황선미 작가가 글을 쓰고, 볼로냐 국제아동도서전에서 라가치상을 두 번이나 수상하며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폴란드 화가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가 그림을 그렸다.
책에는 많은 것이 부족했던 1960년대를 따로 똑같이 경험하고, 옛이야기를 통해 치유와 위로를 받았던 두 작가의 공통된 기억이 고스란히 담겼다.
`인어의 노래`를 펼치면 면지에서 막이 펼쳐지고, 오리 한 마리가 책을 끄집어내고, 한 소녀가 책을 읽기 시작한다. 이야기 꼭지마다 책 읽는 소녀가 등장하고 이야기 속 인물들이 무대에 등장해 또 다른 이야기를 만든다.
독립된 그림이면서 동시에 책 전체를 관통하는 그림 화법은 독자들을 또 하나의 독창적인 이야기 속으로 초대한다.
시작을 알 수 없는 오랜 세월 사람들로부터, 사람들에게 전해져 내려온 것이 민담이듯 두 작가는 다시금 독자들에게 새롭고도 흥미로운 이야기를 귀와 마음에 소곤소곤 들려준다.
바라고 바라던 인생의 큰 행운을 얻었지만 그 행운을 타인과 나눌 수 없다면?(`고사리 꽃`), 삶을 다해 일해도 적은 돈을 받고 살던 구두 수선공이 엄청난 부를 얻을 기회를 만나지만 그 돈을 오직 자신만을 위해 써야 한다면?(`황금 오리`) 낯선 곳에서 온 이야기지만 이 이야기들 속에는 우리가 느껴 본, 혹은 앞으로 스스로의 모습에서 발견하게 될지 모를 익숙한 사람들이 등장한다.
끝없는 욕심 때문에 눈앞의 행운을 두고 갈등하는 사람, 나아지지 않는 인생 때문에 힘들어하지만 다만 부가 전부가 아니라는 깨달음을 얻게 되는 사람. 이 이야기 속 인물들이 받게 되는 질문들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갈등할 상황을 지혜롭게 바라보게 할 눈을 뜨게 해 준다.
또한 어려운 상황이지만 남다른 용기로 삶을 개척하는 인물들도 있다. 자신보다는 남에게 무조건 베풀어 주는 천성 탓에 가족에게까지 외면당하지만 그 선함의 힘으로 나라를 구하고 왕이 되는 청년 가베우(`왕이 된 농부`), 가난한 농부의 딸이지만 지혜롭고 당당한 기개로 왕의 마음을 얻는 소녀 카테리나(`현명한 카테리나`), 그리고 결단 있는 용기로 거인으로부터 왕자의 저주를 풀어주는 돼지치기 소녀(`용과 소녀`). 이들이 보여 주는 용기에서는 남들의 시선보단 스스로의 힘을 믿고 행동하는 것의 중요성이 느껴진다. 황선미 작가는 이처럼 낯선 곳에서 왔지만 우리의 마음으로 와 닿는 이야기들을 모아,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메시지를 전한다.
`밀랍 아가씨`에서 등장하는 노인의 모습에선 장인정신의 힘이, `왕이 된 농부`에선 사람에게는 출신보다 중요한 것이 있다는 메시지가 새롭게 읽히기도 한다.
사람이라면 가져야 할 미덕이지만 우리가 잠시 잊고 있었던 소중한 것들을 깨닫게 해, 아이들에게는 물론 마음의 나침반이 필요한 청년과 어른들에게도 진부하지 않은 감동 어린 조언이 돼 준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