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한국현대미술 계보 한눈에

정철화기자
등록일 2015-06-02 02:01 게재일 2015-06-02 12면
스크랩버튼
리안갤러리 대구, 27일까지 단색화 대표작가 8인展
▲ 이우환 作 `from winds`

리안갤러리 대구는 오는 27일까지 한국현대미술의 계보를 그리는 전시회 `A table of Korean contemporary Art ll : Dansaekhwa(단색화)`를 개최한다.

리안갤러리가 지난 2007년에 이어 두 번째로 대구에서 마련한 단색화 전시회이다.

이번 전시회에는 이우환(79), 박서보(84), 정창섭(1927~2011), 정상화(83), 윤형근(1928~2007), 하종현(80), 이동엽(1946 ~ 2013), 이강소(72) 등 한국단색화 대표작가 8인의 작품을 한자리에 모았다.

단색화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더불어 지역에서 단색화 주요 작가들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기회로 70년대 초부터 2007년까지를 아우르는 작품 20여 점이 전시된다.

전시 주요작품으로는 이우환의 70년대 `점`과 `선`, 80년대 `바람` 및 `조응`시리즈와 드로잉 등 작가의 주요시리즈가 고루 출품된다.

▲ 리안갤러 대구가 27일까지 현대미술의 계보를 그리는 전시회 `단색화`를 열고 있다.
▲ 리안갤러 대구가 27일까지 현대미술의 계보를 그리는 전시회 `단색화`를 열고 있다.

박서보의 70년대 연필묘법, 90년대 종이묘법, 2000년대 묘법 등 연대별 주요 작품을 만나 볼 수 있다. 또 닥을 소재로 한 정창섭의 `묵고`시리즈, 캔버스 위에 약 5mm 두께의 고령토를 발라 말린 다음 규칙적인 간격으로 접어 균열을 만든 후 하나씩 떼어내고 물감을 채우는 과정을 반복하여 얻은 결과물인 정상화의 백색추상화와 배압법을 이용한 하종현의 `접합` 시리즈, 수행하듯 흰색의 그림만을 그린 이동엽의 `사이` 연작과 윤형근의 `엠버 블루` 등 한국의 자연관과 정신이 녹아 있는 작품들이 소개된다.

한국 단색화는 1970년대 초 시작해 지금까지 한국현대미술의 대표적인 사조로 전개되어 왔다.

한국 단색화는 1960-70년대 세계미술계 주요한 경향이었던 개념미술과 미니멀리즘, 일본 모노하 운동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일체의 구상성을 배제하고 순수한 단색추상화만으로 이루어지는 양식적 특징을 갖고 있다.

시각 중심적 사고를 보이는 서구의 모노크롬 회화와 구별되는 한국 단색화는 사물과 대상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끈질긴 자기와의 싸움 그리고 행위의 반복으로 독창성을 띠고 있다.

한국 단색화를 조명하는 움직임은 2012년 봄에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한국의 초기 단색화를 집중 조명하는 전시와 국제학술심포지엄을 열어 이론적인 재조명을 시작했고 해외 주요 아트페어(프리즈 마스터스, 아부다비, 아트바젤마이애미, 아트바젤스위스 등)에서도 한국 단색화 작가들의 작품을 잇달아 소개하며 한국 단색화의 독창적인 미학을 선보였다.

국내에서는 국제갤러리, 현대갤러리, 아라리오, PKM 갤러리 등에서 단색화 작가들의 전시를 연달아 기획하며 단색화 열기를 이끌어오고 있습다.

▲ 이우환 作 `correspondance`
▲ 이우환 作 `correspondance`

특히 단색화 대표작가인 이우환은 지난 2014년 6월 프랑스 베르사유궁에 초대돼 개인전을 열며 한국단색화의 우수성을 알렸다.

이어 올해 3월 세계 양대 경매회사 중 하나인 소더비에서 아트바젤홍콩아트페어 기간에 맞춰 한국단색화를 재조명하는 전시를 열었고 지난달 초 막을 연 베니스비엔날레에서는 벨기에 보고시안재단이 주최하는 `단색화` 전시를 개최, 단색화 대표작가의 작품 50여점이 전시되고 있다.

전시문의 : 053-424-220.

/정철화기자 chhjeong@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