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주 망덕사터 문화재 일반에 첫선

정철화기자
등록일 2015-05-06 02:01 게재일 2015-05-06 12면
스크랩버튼
경주박물관 7월4일까지 특집展
▲ 용얼굴무늬 수막새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이영훈)은 석가탄신일을 맞아 특집진열 `신라의 호국사찰, 경주 망덕사`를 5일부터 7월 4일까지 마련한다.

이 특집진열은 경주 망덕사터에서 출토된 문화재를 처음 전시하는 자리이다.

경주시 배반동에 그 터가 남아 있는 망덕사(望德寺)는 679년(문무왕 19년)에 세워진 신라의 호국 사찰이다.

▲ 연꽃무늬 수막새
▲ 연꽃무늬 수막새

망덕사 창건 기록에 따르면 674년 신라에 패한 당나라는 이듬해 50만 군사를 동원해 신라를 다시 공격했다.

신라는 사천왕사(四天王寺)를 지어 불심으로 당나라 군사를 물리쳤다. 당 고종(재위 650~683)은 두 번씩이나 공격에 실패하자 그 까닭을 알기 위해 신라에 사신을 보냈다.

그러자 신라에서는 사천왕사를 보여주지 않기 위해 대신 지은 새 절을 보여주며, 당 왕실의 복을 빌기 위해 지은 사천왕사라고 거짓으로 말했다.

당의 사신은 이 절이 사천왕사가 아님을 알아채고 “망덕요산(望德遙山)의 절이다” 라고 하자 신라는 사신을 매수했다.

▲ 용얼굴무늬 사래기와
▲ 용얼굴무늬 사래기와

당으로 돌아간 사신은 “과연 신라에서는 사천왕사를 지어 황제의 만수를 비옵니다”라고 거짓 보고하했고 이후 이 절의 이름은 망덕사가 되었다는 것.

현재 절터 입구에는 당간지주가 서 있다. 1969~1970년 문화재관리국의 발굴 때 금당터, 강당터와 함께 동쪽과 서쪽에서 목탑터가 발견됐다.

삼국사기에는 망덕사에 13층 목탑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어, 이 목탑터들은 신라의 목탑 구조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 청동 정병
▲ 청동 정병

출토품은 통일신라 초기부터 말기 양식의 기와가 대부분이며, 고려시대 유물도 확인된 것으로 미뤄 최소한 고려 초까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진열에서는 통일신라시대의 연꽃무늬 수막새, 용얼굴무늬(龍面文) 수막새, 덩굴무늬 암막새 등과 고려시대의 공양구들을 선보인다.

망덕사터에서 출토된 기와는 사천왕사터의 출토품과 거의 비슷해 특히 연꽃무늬 수막새들은 통일신라 초기부터 말기까지의 무늬 변화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고려시대 공양구로 청동 정병(淨甁) 1점, 금동 그릇 5점, 불상 대좌 1점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정병은 군위 인각사 출토품(통일신라시대)과 전체적인 형태는 비슷하나 동체부가 좀 더 둥근 형태로서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보인다.

▲ 공양구
▲ 공양구

한편, X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해 이 공양구들의 합금비와 도금 방법을 분석한 결과 청동 정병은 구리 80%, 주석 11%, 납 8% 등으로 주조됐고 금동 그릇은 청동 위에 수은 아말감법으로 도금한 것으로 확인됐다.

납을 넣어 합금한 것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쉽게 녹여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전시 관계자는 “이번 진열이 그동안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신라의 호국 사찰인 경주 망덕사를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길 기대하며 많은 관람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정철화기자 chhjeong@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