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영조는 노쇠한 조선을 어떻게 재건했을까

정철화기자
등록일 2015-05-01 02:01 게재일 2015-05-01 13면
스크랩버튼
통치이념·개혁정책 재조명<bR>`52년 치세` 다룬 책 2권 발간

조선의 제21대 국왕 영조가 즉위할 당시의 조선은 이미 330여 년이나 된 노쇠했고 당쟁으로 사분오열된 왕조였다. 그런 조선왕조의 국왕 자리에 오른 영조는 장장 52년 동안 재위하며 무수한 개혁을 성취해냈다.

영조는 왕비의 아들도 아니었고 제대로 후계 교육도 받지 못한 불리한 입장이었지만, 정치안정과 제도개혁을 성취하기 위해 무수한 난관을 극복해냈다.

영조는 어떻게 그 난관들을 극복했고 또 어떻게 정치안정과 제도개혁을 성취했을까.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영조의 삶과 통치이념과 정치관을 보여주는 2권의 책을 발간했다.

`영조의 통치이념과 개혁`(신명호 지음, 216쪽)과 `영조 대의 양역정책과 균역법`(정연식 지음, 204쪽).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각 1만2천원.

`영조의 통치이념과 개혁`은 왕비의 아들도 아니고 제대로 된 후계 교육도 받지 못한 영조가 어떻게 장애를 극복하면서 정치안정과 제도개혁을 이뤘는지 살핀다.

특히 영조가 개혁의 기초이론으로 삼았던 효, 경, 근, 검, 공, 서의 여섯 가지 원칙과 통치이념 3대 원칙 `계붕당`(戒朋黨·붕당을 경계한다), `계사치`(戒奢侈·사치를 경제한다), `계숭음`(戒崇飮·음주를 경계한다)이 그의 치세 52년을 어떻게 관통하는지 조명한다.

영조의 개혁은 이러한 원칙과 통치이념이 구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조의 개혁을 다룬 이 책은 영조의 현실인식과 통치이념, 왕실의례개혁, 통치제도개혁 세 가지로 크게 구성된다. 18세기 조선은 왕조 사회였기에 왕실 문제와 통치 문제가 당대 현실 문제의 핵심이었고, 그 현실 문제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결과가 영조의 개혁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전제로서 영조의 삶과 학습 및 통치이념을 살펴봄으로써 영조 통치의 배경은 무엇인가를 밝히고 있다.

`영조 대의 양역정책과 균역법`은 영조가 자신의 대표적 정책인 `균역법`을 신하들의 거센 반대를 뚫고 결국 시행하는 과정을 쫓는다.

균역법은 영조 치세 전반기 백성을 가장 힘들게 했던 `양역`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만든 세법이다.

양역은 조선시대 국가가 요구하는 노동력을 징발하고자 16~60세 양인에게 부과하던 각종 신역(身役)을 말한다. 처음에는 징발 대상자가 직접 부역하도록 했으나 점차 베(布)나 곡식으로 대신하게 됐다.

영조는 양역의 성격이 변질되고 심지어 농민경제를 파탄시킬 지경에 이르자 이를 개혁하기 위해 균역청을 설치하고 양인에게 부과되는 군액을 줄이는 균역법을 시행했다.

이 두 권의 책은 최장기간 조선을 통치했던 영조의 삶과 통치이념, 대표적 정책을 통해 그가 어떻게 애민(愛民) 정신을 끈질기게 실현했는지 보여준다.

/정철화기자 chhjeong@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