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학고 `3+3교육과정 운영`

윤경보기자
등록일 2013-01-21 00:10 게재일 2013-01-21 17면
스크랩버튼
5학·과학 심화교육… 대학 3년내 졸업 가능<br>교육 연계 협력 업무협약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과학영재학교가 교육 연계 협력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같은 업무협약은 지난해 2월 `교과부-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상호 교류 및 협력 활성화 MOU`에서 논의한 대학과목 선이수과정 개설·운영 등에 따라 국가의 우수 과학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고교와 대학 과정에서의 중추 기관인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 교육 연계 체계를 구축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18일 카이스트에서 열린 업무협약식에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포항공과대학교 등 지역의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외에도 한국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 등 5개 대학이 참석했다. 과학기술영재고는 대구과학고와 카이스트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서울과학고, 경기과학고 등 4개 학교가 참여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운영하게 될 공동 AP과정은 대학 수준의 수학·과학 분야의 심화과목에 해당하는 것으로 미적분학I·II, 확률 및 통계, 일반물리I·II, 일반물리학실험I·II, 일반화학I·II, 일반화학실험 I·II, 일반생물 등 총 12과목이다.

AP과정을 이수한 영재학교 학생이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 입학한 경우, 대응 과목을 신청해 대학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으며, 효율적인 AP과정 운영 지원을 위해 카이스트 과학영재교육연구원에 AP 지원센터가 설치·운영된다. AP 지원센터는 교육과정 운영 관리, AP과목 담당교사 연수 지원, 학점 인정 협약 지원 등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번 협약에는 공동 AP과정 운영 외에도, 과학영재학교에서 대학 교수의 지도 하에 학생 스스로 연구 과제를 수행하며 학습할 수 있는 학생 연구활동(R&E)과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교수에 의한 이공계 진로 지도 멘토링에 대해 적극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분야 심화·전문 교육 지원 등 상호 협력이 필요한 사안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협력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 체결은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과학영재학교의 교육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국가 우수 과학기술인재 양성과 이공계 진로를 촉진하는 제도적 기반을 구축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공동 AP과정을 통해 고등학교 과정에서 대학 수준의 교과 과정을 이수한 과학영재학교 졸업생은 KAIST 등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 진학 후 3년 내에도 졸업할 수 있게 돼 과학영재학교-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 `3+3년 교육과정` 운영 여건이 조성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는 “과학영재학교의 공동 AP과정이 내실있게 운영되고 정착될 수 있도록 재정 등을 지원해나갈 계획”이라며 “과학고등학교 등에서도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의 AP과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경보기자 kbyoon@kbmaeil.com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