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 건수 1천474건으로 전국서 세번째 많아
18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김태원 의원(새누리당. 경기 고양 덕양을)에 따르면 지난 2009년 7월 학파라치 도입 이후 올해 6월말까지 3년간 학원가의 불·탈법에 대해 총 5만 6천351건의 신고가 접수됐고 이 중 1만41건에 대해 총 39억여원의 포상금이 지급됐다.
대구는 1천474건에 5억4천186만원으로 경기(2천247건, 8억5천879만원), 서울(1천783건, 7억9천750만원)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다. 특히 인구가 더 많은 부산(1천275건, 4억6천486만원), 인천(745건, 2억6천996만원)보다 많아 학부모를 비롯, 학원관계자들을 놀라게 했다.
이에반해 산촌이 많고 대도시가 적은 경북은 2천670건에 1억5천200여만원을 기록, 상대적으로 학파라치 포상금이 적었다.
문제는 학파라치가 `직업화`되고 있다는 것.
학파라치 도입 이후 가장 많은 포상을 받은 김모씨는 2009년 이후 5천246건을 신고, 약 2억9천910만원을(920건 포상)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포상금 수령자 상위 21명이 전체 포상금 지급 건수의 39.9%를 차지, 이들이 받은 포상금이 총 14억9천812만원으로 직업화 되고 있다는 걸 입증했다.
이에 따라 무조건 신고와 교육청의 결정에 따라 포상금을 지급하는 방법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