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등 1천여명 참석 삭발식·거리시위
공군사격장 추방을 위한 이날 총궐기대회에는 사격장이 위치한 중동면과 희망상주21C을 비롯한 시민단체 회원 등 1천여명이 상주농협중동지소 앞에 집결해 삭발식을 시작으로 거리시위에 나섰다.
낙동사격장은 국가안보와 군 전투력 증강이라는 큰 틀 아래 1953년 상주시 중동면 간상리에 자리를 잡았다.
그동안 중동면을 비롯한 인근 낙동, 사벌면은 말할 것도 없고 상주시내 전역이 엄청난 전투기 소음과 오폭의 위험에 노출돼 있었다.
이날 궐기대회에서 낙동 공군사격장 추방 추진위원회는 도청과 혁신도시, 경마공원 유치 등이 매번 낙동사격장 때문에 실패했고 상주가 내륙 항구로 나아가는 뱃길마저 막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농축산물 생산과 지역경제 발전, 학교수업 등에도 막대한 지장을 주고 있으며 주변 상수원의 중금속 피해까지 있는데다 K2공군비행장 이전 대체지로 상주와 예천이 거론되고 있어 이를 기필코 막아야 한다고 호소했다.
궐기대회에 참가한 중동면의 박모(59)씨는 “비행기소리 때문에 목청을 높여야만 의사전달이 되는 까닭으로 중동면민들은 한결같이 난청을 호소하고 있으며 심지어 어떤 사람은 정신분열 증세까지 겪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낙동사격장과 관련, 지난해 국방부와 10년간의 긴 법정싸움 끝에 소음공해 피해보상은 이뤄졌으나 보상액이 들쭉날쭉해 1인당 54만원을 받은 마을이 있는가 하면 84만원을 받은 마을도 있고 한 푼도 받지 못한 마을까지 있어 매향리와 흡사한 이슈가 되고 있다.
상주/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