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해군측, 제주기지 구럼비 해안서 연속 발파

연합뉴스
등록일 2012-03-09 21:55 게재일 2012-03-09 7면
스크랩버튼
8천800t `케이슨 1호` 투하 앞서 반발 고조… 2명 연행
▲ 8일 제주해군기지 건설을 위해 제작된 케이슨(Caisson) 1호가 서귀포시 강정마을 구럼비해안으로 옮겨진 가운데 공사 관계자들이 임시 투하를 위한 준비작업을 하고 있다. 철근과 콘크리트를 이용해 서귀포시 화순항에서 제작된 8천800t에 이르는 이 케이슨은 대형 플로팅도크선에 의해 옮겨졌다.
8일 해군측이 제주기지 구럼비 해안 주변에서 추가 발파를 잇달아 시행했다.

해군기지 시공사는 이날 낮 12시26분을 시작으로 10분 간격으로 강정항 동쪽 100m 지점 바위 위쪽 육상 케이슨 제작 예정지 4곳에서 화약을 연속으로 터트렸다. 이 발파는 7일 6차례 발파를 한 데 이은 7~10차 발파다.

해군 제주기지사업단 측은 이날 오전 서귀포시 안덕면 화약보관업체에서 4차례가량 발파할 수 있는 화약을 구럼비 해안으로 추가 반입했다.

육상케이슨작업장 제작에 앞서 평탄화 작업을 위해 진행되는 이날 발파는 반경 10~20m 범위에서 이뤄졌다.

해군은 또 이날 새벽 5시께 케이슨을 실은 해상 도크(야외 작업장)를 기지 앞 해상으로 옮겨 케이슨 안에 물을 채워 무게를 늘리는 작업을 시행, 오후 3시께 임시 투하에 나설 계획이다.

해군 제주기지사업단의 한 관계자는 “해수면 평탄화 작업이 부족해 밧줄에 매단 채로 수중으로 투하돼 추가 방파제 자리로 옮겨진다”고 설명했다.

`케이슨 1호`로 명명된 이 케이슨은 무게가 8천800t이 나가 한 번 해상에 투하되면 다시 꺼내기가 사실상 불가능해 반대단체들이 임시 투하에 앞서 크게 반발하고 있다.

해군기지를 반대하는 강정마을회와 문정현, 문규현 신부를 비롯한 반대단체 회원 50여명은 이날 오전 6시부터 해군 제주기지사업단장과 면담을 요구하며 사업단 정문 앞에서 농성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영국 출신 평화·환경활동가 앤지 젤터(Angie Zelter)씨가 사업단 안에 들어갔다가 경찰에 연행됐고 임모씨가 사업단 정문 일부를 파손한 혐의(기물파손)로 경찰에 붙잡히는 등 충돌이 벌어졌다.

또한 일부 활동가들은 기지 부지 앞 구럼비 해안에 들어가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