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등감이 있는 아이는 자신을 신뢰하지 못하고 무엇을 하든지 소극적이다. 또 미리 부정적인 결론을 내리고 최선을 다하지 않는다. 부정적 자아 개념을 갖게 된 원인을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특히 부모의 부정적인 언어와 태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부모의 지시적인 태도, 꾸지람이나 비판, 과잉보호, 비교, 애정표현 부족, 지나친 기대 등이다. 아이가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갖으려고 열등감을 느끼게 한 원인을 찾아 제거해야 한다. 먼저 부모는 아이에 대해 부정적인 언행을 긍정적으로 바꿔야 한다. 또 아이에게 지시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아야 한다. 부모의 지시적 태도는 아이의 존재가치를 무시하는 것이다. 아이에게 일방적으로 지시하기보다 아이의 생각을 묻고 대화를 통해 의견을 조율하고 아이가 선택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 꾸지람이나 비판을 하지 않아야 한다. 꾸중이나 비판은 아이의 두려움이나 수치심 등을 자극해 아이가 상황을 피하고자 거짓말을 하게 한다. 아이가 부모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게도 한다. 아이의 바람직하지 못한 말과 행동은 사랑과 인정받기와 같은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서 나타나는 것이다. 꾸지람보다 아이에게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한다.
/박영희(포항시 북구 우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