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의 계절이 왔다. 결혼을 하려고 예비부부들은 얼마를 부담할까? 미혼 직장인들은 집 장만을 제외한 평균 결혼비용으로 남자는 3천800만원, 여자는 3천300만원을 적정 결혼비용이라고 말한다. 이는 남성이 결혼 비용을 더 많이 부담해야 한다는 전통적인 가치관이 젊은 세대로 갈수록 약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결혼을 준비하는 예비부부들이 요즘 많이 쓰는 신조어 중에 스드메란 단어가 있다. 이는 스튜디오 웨딩촬영, 드레스, 메이크업패키지를 말한다. 이는 패키지를 구성하는 서비스로 각각의 가격이 업계 비밀이라는 이유로 공개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결국 부르는 게 값인 실정이다. 할인을 해준다고 해도 진짜 할인 혜택을 받는 것인지 알 수가 없는 현실이다. 게다가 스드메 패키지 가격 외에 추가로 드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이에 체면과 본전 생각을 뺀 검소한 결혼식을 치르는 예비부부들이 늘어나고 있다. 예물은 반지로 최소화하고 청첩장도 이메일로 대신하거나 꼭 필요한 곳에만 종이 청첩장을 보내는 등 형식적인 절차를 생략하는 대신 남은 비용을 미래에 투자하는 예비부부들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것도 양가 부모의 동의가 없다면 힘들다. 결혼은 부모가 아니라 당사자가 중심이 돼야 하기 때문에 의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청첩장은 남발하지 않고 하객은 신랑, 신부의 친지 중심으로 초청하고 예물과 예단은 간소하지만, 정성을 담아 준비하자. 또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혼수준비로 형편에 맞는 혼례문화장착에 노력하고 결혼식장은 공공 및 종교시설 등을 적극 활용하자.
/박금희(경주시 황성동)